지진 지나간 자리, 인류 역사에 남긴 파동

지진 지나간 자리, 인류 역사에 남긴 파동

함혜리 기자
입력 2015-05-01 23:34
수정 2015-05-02 02: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진, 두렵거나 외면하거나/앤드루 로빈슨 지음/김지원 옮김/반니/288쪽/1만 5000원

인류는 지구상에 살기 시작한 이후 불시에 찾아오는 지진이란 재앙을 수없이 겪었다. 일상생활 중 감지되는 잠깐의 흔들림 수준도 있지만 도시 전체가 붕괴되고 수많은 사망자가 나올 정도로 거대한 경우도 많았다. 1976년 중국 베이징 동쪽 탕산에서 발생한 규모 7.5의 지진으로 최소 25만명에서 최대 75만명이 사망했으며, 2010년 아이티 지진은 30만명이 넘는 사람의 목숨을 앗아 갔다. 일주일 전 발생한 네팔 지진도 기록적인 피해를 낼 것으로 보인다.

‘지진, 두렵거나 외면하거나’는 지구 곳곳에서 일어났던 대지진의 역사와 이에 맞선 인간의 투쟁을 그렸다. 영국 더 타임스의 편집자 및 기자를 거쳐 과학 전문 저술가로 활약 중인 저자는 인류가 겪은 크고 작은 지진의 역사를 통해 지진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인류의 노력을 돌아본다.

지진은 다발지역 사람들의 정서와 문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중세 유럽에서는 지진이 신의 분노 때문이라고 믿었다. 1775년 리스본 대지진 후에는 종교재판이 열렸고 생존자들을 이단으로 몰아 화형식을 열기도 했다. 일본의 전설은 육지 아래 사는 거대한 메기가 신들이 자리를 비운 사이에 몸을 꿈틀거리며 장난을 치면 지진이 발생한다고 봤다. 일본 기상청의 지진 초기 경보에 메기 그림 로고가 등장하는 이유다.

예측할 수 없는 지진은 인류의 역사를 바꾼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일각에서는 터키, 그리스, 크레타에 있던 청동기 문명이 사라지게 된 배경으로 지진을 꼽는다. 저자는 또 14만명의 희생자를 낸 1923년 간토 대지진의 복구비용 때문에 일본이 군사화를 촉진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게 된 것이라고 봤다. 책은 과학의 발전과 함께 지진을 극복하기 위한 인간의 노력도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저자는 “지진을 예측한다는 것은 유혹적인 신기루와 같다”며 지구 어디든 지진에서 절대적으로 안전한 곳은 없다고 경고한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05-0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