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애는 종일 아기를 안고 어른다. 잘 때도 아기를 품에 안고 잠드는가 하면 등에 업은 아기 얼굴이 탈까 봐 응달만 졸졸 쫓아다닌다. 그런데 이 아기는 참말 이상한 아기다. 눈도 귀도 코도 없는 두루뭉수리에, 웃지도 울지도 먹지도 않는 벙어리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그래도 이 ‘두루뭉수리 아기’를 가장 귀애하는 명애의 곰살맞은 보살핌을 보고 있자면 절로 미소가 번진다.
엄마 노릇을 걱실걱실하게 잘 해내던 명애가 어느 날 아침 자지러지게 운다. 엄마가 보이지 않았던 것. 얼굴 가득 눈물 콧물을 빼고 목젖을 떨며 우는 명애를 보고 엄마는 슬며시 한마디 던진다. “베개 아기의 어머니도 우나?” 그러자 언제 그랬냐는 듯 뚝 울음을 그치는 명애의 볼에 발그레 꽃물이 들어 있다.
‘아이들은 놀이를 하며 자란다’는 명제가 한 편의 동시 같은 소담스러운 이야기에 간명하게 담겼다. 비싸고 화려한 장난감 없이도 생활 속 사물과 상상력만으로 또 다른 세상을 만들어 냈던 순박한 동심이 정겹다. 베개 아기에 코를 묻고 잠든 아이의 모습, 베개 아기가 먹는 것 앞에서 묵묵부답이라며 입술을 비죽이고 울음보를 터뜨리는 아이의 모습 등을 앙증맞게 그려 낸 화가의 솜씨는 이야기의 재미를 배가시킨다.
원종찬 아동문학평론가는 “명애는 베개 아기의 엄마 노릇을 하며 사랑을 받는 자리에서 벗어나 남에게 주는 자리에 서며 큰 기쁨을 누린다”면서 “역할 놀이인 소꿉놀이처럼 놀이가 세상의 이치를 저절로 깨닫게 해 준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라”고 당부한다.
저자 송창일은 1930년대 많은 작품을 발표한 북한 작가다. 1938년 평양에서 동화집 ‘참새 학교’를 펴냈고 해방 후에도 북한에서 활동하며 평양 광성보통학교 선생님을 지냈다는 기록만 있을 뿐 행적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눈사람’, ‘석류나무’, ‘거짓말’ 등 그의 대표작 일부가 국내에 소개돼 천진한 어린아이의 세계를 그린 근대 동화의 서정성을 엿보게 한다. 초등 저학년.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9-2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