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하던 화장·염색까지 해봐도…” 왕따 소녀의 성장통

“혐오하던 화장·염색까지 해봐도…” 왕따 소녀의 성장통

입력 2012-01-28 00:00
수정 2012-01-2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쩌다 중학생 같은 걸 하고 있을까】구이노 신이치 지음 뜨인돌 펴냄

리스트 컷(wrist cut). 손목 긋기와 같은 일을 하지 않고자 안간힘을 쓰는 스미레는 중학교 2학년생이다. ‘어쩌다 중학생 같은 걸 하고 있을까’(구이노 신이치 글, 장은선 옮김, 뜨인돌 펴냄)의 주인공인 스미레는 한국말로 ‘제비꽃’이란 예쁜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제목대로 중학생이 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한다. 모두가 사이좋게 지내고 착하게 살았던 초등학교를 졸업한 뒤 스미레에겐 친구가 없어지고 집단 괴롭힘의 대상이 된 탓이다. ‘왕따’다.

스미레는 ‘친구 같은 거 만들지 말고 내 길을 가면 되잖아. (중략) 다른 아이들과 조금 다른 타입이긴 하지만 성격도 나쁘지 않고 고집도 세지 않고 눈치도 있는데. 아닌가? 눈치가 없는 건가? 그래서 이렇게 된 건가? 필사적으로 머리를 굴려봐도 역시 알 수가 없었다.’라며 ‘필사적으로’ 자신의 처지를 점검한다. 1학년은 어찌어찌 친구 1명으로 헤쳐 나왔는데, 2학년이 된 첫 달 4월 내내 친구를 사귀지 못했다. 결국 스미레는 날라리지만 반에서 제일 예쁜 그룹에 끼려고 ‘필사적으로’ 또 노력한다.

혐오해 마지않던 짧은 치마도, 진한 화장과 노란 염색머리도 친구를 사귈 수만 있다면 다 수용하기로 마음을 고쳐먹으니 멋진 세상이 펼쳐졌다. 그러나 그것은 신기루 같은 것. ‘친구들’처럼 대학생 스폰서를 만들거나 화장품 가게에서 도둑질하기를 포기한 스미레에겐 다시 험난한 세상이 펼쳐졌다. 교실에서 아예 책상이 사라져버린 것이다.

왜 스미레는 집단 괴롭힘을 받아도 부모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을까? 상벌에 일관성이 없는 고지식한 엄마와 대기업의 과장으로 딸의 교육을 아내에게 떠넘겨 놓은 아빠는 스미레의 성적 하락에 실망을 표시할 뿐 둘 다 양호실에서 뒹굴거리는 딸 스미레를 상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부모들과 비슷하다. 또 10대의 자존심은 도움받기를 허락하지 않는다. 누추하고 구질구질한 현실을 어떻게 부모에게 내보일 수 있겠는가?

청소년 성장소설로, 10대 학생들의 분방한 언어로 유쾌하게 번역해놓은 것이 재미다. 우리의 자녀가 악의 없이 친구를 괴롭히지는 않는지, 혹은 괴롭힘을 당하고 있지 않는지 살펴볼 수 있는 팁을 제공한다. 1만원.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01-28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