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른 여자들’

두산아트센터 제공
연극 ‘마른 여자들’.
두산아트센터 제공
두산아트센터 제공
아주 다른 삶을 사는 쌍둥이 자매가 있다. 어릴 땐 슬프면 신맛, 기쁘면 단맛을 똑같이 느낄 정도로 하나였지만 성장하면서 극단으로 갈라졌다. 동생 로즈는 학교에서 여자아이에게 잘 보이고 싶어 시작한 다이어트가 거식증으로 이어졌다. 언니 릴리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폭식을 한다. 쌍둥이의 외모가 양극단으로 흐르는 사이 성적 지향도 달라졌다. 로즈는 동성애자다. 릴리는 이성애자지만 데이트 폭력과 사랑을 구분하지 못한다.
연극 ‘마른 여자들’은 섭식장애 시설에 들어간 로즈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낸다. 마른 몸을 동경하는 어린 세라, 한때 빼빼 마른 몸으로 소녀들의 스타였던 캣 미첼스, 아이를 낳은 적이 없지만 엄마라 불리는 캐서린 등 시설 안에는 ‘몸의 문제’를 안고 있는 여성투성이다. 시설 밖에도 마른 몸에 집착하는 여학생들의 여왕 제나와 로런이 있다.
‘이 세상에서 사라지고 싶어’서 몸무게를 줄이는 로즈나, 1㎏이 늘어날까 봐 쓰러질지언정 영양제를 맞지 않겠다는 로런이나 모두 ‘자기 파괴’를 향해 가는 모습이다. 하지만 극작·연출을 맡은 박주영은 이를 두고 “내가 여기 있다고 말하는 자기 증명”이라고 봤다.
무대 바닥에 그려진 세 개의 원은 한 사람의 내면이 어떻게 밖으로 확장하는지 보여 주는 장치다. 로즈는 릴리와 주변 사람들이 스스로를 파괴하는 모습을 통해 삶을 인지하고, 캣은 자신의 팬이었던 세라에게서 현실을 자각하게 된다. 시설의 안과 밖에서 서로서로 거울이 되며 ‘몸의 고립’에서 벗어나는 마른 여자들의 관계는 지금은 비극이지만 희망을 꿈꾸게 한다.
원작은 뉴질랜드 작가 다이애나 클라크가 2021년 출간한 동명 소설로, 여성의 몸, 퀴어, 다이어트 문화, 사랑과 우정 등을 탐구하고 예리하게 풀어내며 호평받았다. 박주영은 2023년 여성 배 수리공을 소재로 한 ‘고쳐서 나가는 곳’으로 동아연극상 신인연출상을 수상하며 ‘여성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극작가 겸 연출가’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이번 작품도 원작의 핵심을 짜임새 있게 담아내며 연대를 그렸다. 다만 구토, 성적 표현, 다소 거친 대사가 불편하게 여겨질 수도 있겠다.
‘마른 여자들’은 오는 28일까지 서울 종로 두산아트센터에서 공연한다.
2025-09-1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