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서 10회 이하 ‘꼼수개봉’…IPTV서 가격 올렸다

극장서 10회 이하 ‘꼼수개봉’…IPTV서 가격 올렸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2-10-03 13:28
수정 2022-10-03 13: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코로나19로 극장가 한산 불구 점점 늘어나
‘관람객 1명’ 543편...“소비자만 피해봐”

극장 개봉작이 인터넷TV(IPTV)에서 더 비싼 점을 노려 개봉만 하고 지나간 ‘꼼수개봉’이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영화진흥위원회와 한국IPTV방송협회에서 제출받아 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10회 이하 상영’ 영화 비율은 증가 추세였다. 2018년 54.81%였던 비율이 2019년 59.08%로 늘었고, 2020년 62.55%, 2021년 61.96%, 올해(개봉 예정작 포함)는 68.03%였다. 코로나19로 극장가가 한산해졌지만 개봉작이 늘어난 셈이다.

이들 작품 중 대다수는 누적 관객 수가 20명 이하였다. 올해 개봉했거나 개봉을 앞둔 영화 1251편 가운데 누적 관객 20명을 넘지 못한 작품은 794편(63.46%)에 달했다. 관람객이 단 한 명인 작품도 543개(43.40%)나 됐다.

사실상 개봉작이라 부르기 민망한 이런 영화들이 극장을 굳이 거쳐 가는 이유는 ‘극장 동시상영작’ 타이틀을 달면 IPTV에서 일반 주문형 비디오(VOD)보다 더 비싸게 판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런 작품들은 IPTV에서 ‘극장 동시상영작’ 타이틀을 달고 VOD보다 비싸게 판매됐다. 전 의원실이 밝힌 KT·SK브로드밴드·LG유플러스 등 IPTV 3사의 VOD 가격 현황을 살펴보면, ‘극장개봉 동시상영작’ VOD는 1만 1000∼1만 6500원 사이였다. 그러나 일반 영화 VOD는 1540∼1만 1000원에 판매됐다. ‘극장 동시상영작’ 이름을 내건 VOD가 IPTV에서 일반 VOD보다 최대 1만 4000원 정도 비싸게 팔리는 셈이다.

전 의원실은 “코로나19 여파로 IPTV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한 이면에 이런 꼼수 개봉이라는 불공정 영업행태가 있었다”면서 “그 피해는 결국 일반 소비자들이 보게 된다. 업계의 자정 활동과 함께 제도적 장치 마련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