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 보신각종, 어디까지 들어 봤니

서울 종로 보신각종, 어디까지 들어 봤니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4-08-29 00:22
수정 2024-08-29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탄생과정 담긴 유물 50점 등 전시

이미지 확대


조선시대 한양의 공중 시계 역할을 했던 보신각종의 역사와 1980년대 새로 조성한 보신각종의 탄생 과정을 살필 수 있는 전시가 열렸다.

28일 서울역사박물관 분관인 공평도시유적전시관에 따르면 기획전시 ‘보신각, 시간의 울림’(포스터)을 통해 서울신문 편집국 회의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보신각종 축소 모형’을 비롯해 1980년대 새로 조성한 보신각종의 탄생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유물 50여점을 선보인다.

보신각은 현재 서울 종로구에 있는 2층 누각 형태로 보신각종을 보호하는 건축물이다. 1395년 지어진 이후로 소실과 중건을 반복했으며, 1895년 보신각이라는 편액을 달면서부터 보신각으로 불리게 됐다. 보신각종은 두 차례 교체됐다. 태조 때 만든 종은 임진왜란으로 손상돼 원각사종으로 교체했다. 이후 오랜 시간 동안 한양의 시간을 알렸던 보신각종(보신각 옛 종)은 1979년 균열이 발견돼 보존 처리를 거쳐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으며, 현재 보신각에 걸려 있는 종은 1985년에 새로 조성한 것이다.

서울신문이 보유한 것과 같은 보신각종 축소 모형은 새 보신각종을 만든 기념으로 1988년에 제작한 한정판 모형으로 보신각종을 12분의1로 축소한 크기다. 전시는 내년 3월 16일까지.

2024-08-29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