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락에서 설법하는 아미타불 , 축연, 조선 19~20세기 무렵, 비단에 채색, 169.0×199.0cm
국립중앙박물관이 7월 21일까지 상설전시관 2층 불교회화실에서 이런 표현 양상을 짚어볼 수 있는 19~20세기 대표 화승들의 불교 회화와 초본 23건 37점을 소개한다.
쌍월당 대선사 초상, 축연, 조선 19~20세기 무렵, 비단에 채색, 181.5×89.3cm
이번 전시에서는 2021년 기증된 ‘이건희 컬렉션’ 속 근대 불교 회화 3점도 처음 공개된다. 19세기 중반 전라도 지방에서 활동한 도순이 1854년 그린 ‘자비로 중생을 구제하는 관음보살’에는 거세게 굽이치는 파도 위 솟아오른 바위에 편히 앉아 있는 수월관음의 모습이 담겼다. 19세기를 대표하는 화승 천여가 1843년에 그린 ‘제석천’도 함께 나왔다. 작은 화면에 먹으로 동자, 옥졸, 판관 등 명부 관련 불화에 등장하는 하위 권속의 모습을 빼곡하게 그린 ‘불화 밑그림’에서는 근대 불화승들의 일상적인 작업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자비로 중생을 구제하는 관음보살, 도순, 조선 1854년, 비단에 채색, 169.0×110.0c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