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단이 오는 9월 무대에 올릴 예정이던 친일 작가 임선규의 연극 ‘빙화’ 공연을 취소했다.
국립극단, 친일 연극 ‘빙화’ 공연 취소. 국립극단 홈페이지 캡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국립극단, 친일 연극 ‘빙화’ 공연 취소. 국립극단 홈페이지 캡처
국립극단은 지난 5일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일부 연구자들에게만 알려져 있던 친일 연극의 실체를 드러내고, 비판적 성찰을 통해 부끄러운 역사를 바로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공연을 기획했다”라면서 “하지만 최근 일본의 경제 보복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와 심려에 공감하여 기획 의도를 참작하더라도 해당 작품을 현시점에 무대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1940년대 발표된 연극 ‘빙화’는 1937년 9월 소련에 의해 연해주로 강제 이주하게 된 조선인들에 대한 이야기를 그렸다. 일제강점기 연극 통제 정책에 따라 시행된 ‘국민연극제’ 참가작으로 친일적 요소가 강하다.
일제강점기 ‘홍도야 우지 마라’(원제: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등 인기작을 쓴 임선규는 하야시 나카로(林中郞)로 개명해 활동했다. 그는 2009년 대통령 직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한 친일·반민족행위자 705인 명단에도 포함됐다.
국립극단은 지난해 발표한 2019 공연계획에서 ‘근현대 희곡의 재발견’ 시리즈 열한 번째 순서로 ‘빙화’를 선정, 9월 27일부터 10월 13일까지 백성희장민호극장에서 공연할 예정이었다.
국립극단은 “대체 작품을 모색 중이며 추후 국립극단 홈페이지를 비롯한 공식 채널을 통해 변경 작품을 안내해 드릴 예정”이라며 “공연 취소에 대한 관객 여러분의 너른 양해를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