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어 있는 그 의자, 종교·정치·개인 속 ‘부재’를 담다

비어 있는 그 의자, 종교·정치·개인 속 ‘부재’를 담다

함혜리 기자
입력 2017-04-10 18:20
수정 2017-04-10 18: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극사실 1세대 지석철 작가, 부산서 ‘부제-시간, 기억’전

의자를 도구로 부재(不在)의 서사를 풀어내는 한국 극사실주의 1세대 대표작가 지석철(64·홍익대 교수)의 근작을 소개하는 ‘부재-시간, 기억’전이 부산 해운대의 소울아트스페이스에서 열리고 있다.
이미지 확대
지석철 작가의 ‘시간, 기억, 그리고 존재’(72.6 X 90.9㎝·2016)
지석철 작가의 ‘시간, 기억, 그리고 존재’(72.6 X 90.9㎝·2016)
지석철의 작품에는 작고 굴곡 있는 나무 의자가 마치 살아 있는 생명처럼 존재감을 드러낸다. 언제나 비어 있는 의자는 부재하는 존재를 향하고 있는 갈망, 그리움과 서정성을 드러내는 주제가 되어왔다. 시간의 흐름과 기억을 나타내는 풍경과 사물은 마치 사진처럼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간결하게 완성된 화면은 더욱더 단단하게 부재를 표현하고 있다.

부재의 서사를 다루기 위한 도구로서 이제는 작가의 아이콘이 되어버린 ‘미니 의자’는 지속적으로 작품 속에 등장하며 시대의 상실과 아픔을 은유적으로 나타낸다. 근작에서는 마치 다큐멘터리 작가가 세계 곳곳의 현장을 카메라에 담는 것처럼 헝가리의 부다페스트, 영국 브라이튼 해변, 모로코의 카사블랑카, 캄보디아 메콩, 페루의 나스카 광장 등 미니 의자가 목도하는 낯선 부재의 에피소드가 열거되고 있다. 보통은 하나의 미니 의자가 등장하지만 산더미처럼 포개져 더미를 이루거나 좌우로 도열되기도 하면서 부재의 가중이 심화됨을 암시하며 이를 통해 종교, 정치, 자연, 개인 등 어디에서든 발견되는 부재의 보편적 현상을 이야기한다.

지석철은 1982년 한국의 대표 청년작가로 파리 비엔날레에 초청돼 미니 의자 300개를 설치작품으로 선보이며 파리비엔날레 10대 작가로 선정됐고 이후 ‘의자 작가’로 알려지게 됐다.

미니 의자가 등장하는 배경에는 고향 마산에 대한 추억과 세계 곳곳에서 만난 이국의 인물들, 그리고 장소를 떠올리게 하는 랜드마크 등 다양한 소재가 등장하지만 특유의 모노톤과 고독함이 묻어나는 스토리는 일관성 있게 전개된다. 전시는 6월 22일까지. (051)731- 5878.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7-04-1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