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톡 튀는 3인의 유쾌한 만남

톡톡 튀는 3인의 유쾌한 만남

입력 2014-11-14 00:00
수정 2014-11-14 01: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민미술관, 권경환·류장복·진시우展 새달 7일까지 세 작가 작품 동시에 전시

“나는 규칙이라는 재료와 예술이라는 방법론을 사용해 만든 결과물을 제시한다.”(권경환)

“눈앞의 창에 드리워진 빛의 덩어리는 화폭 안에서 불씨가 되고 불꽃이 되어 그림으로 자라난다.”(류장복)

“이 검정은 눈을 감을 때마다 매번 달라지는 색이다.”(진시우)

이미지 확대
개성 강한 3명의 작가가 만나 이루는 색은 어떤 빛깔일까. 일민미술관은 다음달 7일까지 독특한 색깔을 띤 세 작가의 작품을 모아 각각의 제목을 붙인 3인전을 이어 간다. 각인된 시선을 특유의 유쾌함으로 바꿔 내는 권경환(37)의 설치미술품에는 ‘마르기 전 규칙’, 일상의 장면을 꾸준히 사생해 온 류장복(57)의 회화들에는 ‘투명하게 짙은’, 미술그룹인 옥인콜렉티브 출신 진시우(39)의 텍스트와 오브제로 구성된 작품들에는 ‘스타카토 블랙’이란 전시 제목이 각각 따라붙었다. 세 작가의 작품은 개별적으로 보이지만 회화, 드로잉, 조각, 설치 등이 동시에 서로 어우러지는 특징을 지녔다.

권경환은 현대사회에서 소비되는 이미지와 말을 소재로 미디어가 발생시키는 독특한 구조를 조망한다. 무언가 견고해지기 전의 단계를 ‘마르기 전 규칙’이라고 이름 붙였다. 작품마다 애매한 상황을 제시하면서 특유의 사유가 담긴 내공을 보여 준다. 결혼식 주례사에 종종 등장하는 ‘사랑’, ‘존경’ 등 단어를 각인시키는 조각, 비닐봉지에 뼈대를 세우는 작업 등이 이색적이다.

류장복은 지난 30여년간 철암, 성미산, 한남동 등 다양한 장소를 찾아다니면서 자신만의 시선으로 표현해 왔다. 최근 태블릿PC의 드로잉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보다 자유롭게 매일의 풍경들을 기록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지난 수십년간 쌓아 온 독특한 회화 세계를 두루 보여 주는 전시를 구성했다.

진시우는 개인적인 예술적 실천 방식을 보여 줄 예정이다. 단어나 문장을 기록해 뒀다가 그것을 다시 마주할 때 연상되는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식의 작업이다. 그간 옥인콜렉티브 시절 보여 줬던 사회, 정치 현실에 대한 예술의 침투와는 다른 개념이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11-14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