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희의 TMI] 신조어 함부로 썼다가 생기는 일

[이보희의 TMI] 신조어 함부로 썼다가 생기는 일

이보희 기자
입력 2021-04-21 17:12
수정 2021-04-22 02: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보희 온라인뉴스부 기자
이보희 온라인뉴스부 기자
최근 한 구인 사이트에 ‘페미니스트가 아닌 자’를 자격 요건으로 내건 편의점 아르바이트 공고 글이 올라왔다. 해당 점주는 “소극적이고 ‘오또케오또케’ 하는 분은 지원하지 말아 달라”는 당부를 덧붙였다. ‘오또케오또케’는 급박한 상황에서 ‘어떻게 해’만 반복해 말하면서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여성을 비하하는 의미로 쓰이는 단어다. 이에 “여성혐오주의자다”, “남녀 갈등을 조장한다”는 비난이 쏟아졌고, 편의점 본사 측은 해당 공고 글을 삭제하도록 했다.

이에 앞서 ‘오조오억’이라는 신조어 사용도 도마에 올랐다. 지난 2월 가수 하하가 올린 유튜브 영상에는 ‘오조오억년 만에 온 실버 버튼’이라는 자막이 삽입됐고, 이는 “남성 혐오 단어”라는 지적이 이어졌다. 항의가 잇따르자 해당 영상은 삭제됐다.

‘오조오억’은 ‘아주 많다’는 것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신조어다. 그러나 일부 여성 중심 커뮤니티에서 이를 남성의 정자 수로 비유하며 성적 비하의 의미로 사용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남혐 단어로 분류됐다.

‘허버허버’라는 신조어 또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할 단어가 됐다. 처음엔 단순히 ‘뜨거운 음식을 허겁지겁 먹는 모습’을 표현한 단어로 널리 사용됐으나, 다른 여성 커뮤니티에서 남자친구가 음식을 급하게 먹는 모습을 헐뜯는 과정에서 유행한 단어라는 주장이 나오면서 남성 비하 단어가 됐다.
과거 ‘허버허버’라는 용어를 사용한 유튜버 ‘고기남자’는 남성 혐오라는 지적이 쏟아지자 지난달 “신중하지 못하게 단어 선택을 한 것에 사과드린다”면서 “당시 그게 그런 용어로 쓰인다는 건 꿈에도 생각 못 했다”고 해명했다.

서울대공원도 유튜브 영상에 ‘허버허버’를 사용했다가 비난을 받았다. 동물이 음식을 먹고 있는 모습에 ‘허버허버’라는 자막이 삽입돼 논란이 되자 공원 측은 사과하고 영상을 재편집했다.

‘힘죠’도 남성 혐오 용어다. 이는 동성애자 비하의 뜻을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방송인 공서영은 지난 14일 ‘힘죠’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무심코 사용했다가 뭇매를 맞았다. 그는 “저는 ‘힘내다’라는 사전적인 의미로 알고 사용했다. 이 표현이 혐오하는 데 쓰이고, 많은 분이 불편을 느끼셨다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지난달 여성가족부 발표에 따르면 15~39세 청년 1만명을 대상으로 성평등 인식을 조사한 결과 여성의 74%가 “우리 사회가 여성에게 불평등하다”고 답했고, 남성의 51%는 “오히려 남성에게 불평등하다”고 했다. 이런 불평등에 대한 피해 의식이 각종 혐오 표현으로 드러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상에 넘쳐나는 신조어 속에서 오히려 표현의 자유가 억압받고 있다. ‘혐오 용어 사전을 만들어야 한다’는 자조적 목소리도 나온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혐오 표현을 사용하고 있을지 모를 일이다.
2021-04-2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