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코호트 격리? PCR 검사?…국민 10명 중 9명 “신문·방송 언어 몰라 곤란”

코호트 격리? PCR 검사?…국민 10명 중 9명 “신문·방송 언어 몰라 곤란”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03-10 14:12
업데이트 2021-03-10 14: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국어원 국민 언어 의식조사...절반 정도가 일상서 비속어 사용

우리 국민 10명 가운데 9명은 신문·방송에서 나오는 말의 뜻을 잘 몰라 곤란했던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0명 중 5명은 국민이 일상생활에서 욕설이나 비속어를 사용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국립국어원은 전국 만 20∼69세 성인 남녀 5000명을 대상으로 벌인 ‘2020 국민 언어 의식 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조사에서 응답자의 89%가 신문·방송 언어의 의미를 잘 몰라 곤란했던 경험이 있었다고 답했다. ‘가끔 있다’가 52.7%, ‘자주 있다’가 36.3%였다. 특히 ‘자주 있다’는 응답은 최근 5년 사이 30.7%포인트나 증가했다. 곤란함을 겪은 말로는 전문용어(53.3%), 어려운 한자어(46.3%), 신조어(43.1%)로 나타났다.

국립국어원은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으로 이런 현상이 두드러졌다고 분석했다.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코호트 격리, 에어 커튼, PCR 검사를 비롯한 코로나19 관련 전문 용어를 비롯해 비말과 같은 한자어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난이도에 대해서는 ‘쉽다’고 응답한 사람이 33.4%였고, ‘어렵다’는 사람은 22.9%였다. 개선해야 할 점으로는 ‘복잡하고 길어서 이해하기 어려운 문장’(50.8%)과 ‘낯선 한자어 등 어려운 단어 사용’(48.2%)을 꼽았다.

또, 응답자의 46.9%가 욕설을, 48.1%가 비속어를 우리 국민이 사용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욕설·비속어를 사용하는 이유로는 32.6%가 기분이 나쁜 것을 표현하기 위해서, 23.1%는 습관적으로, 22%는 친근감의 표현이라고 응답했다. 2005년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기분 나쁨 표현은 55.6%에서 32.6%로 크게 줄었다. 그러나 습관적으로 사용한다는 답변이 1.2%에서 23.1%로 크게 높아졌다.

국립국어원은 “온라인 소통이 일상화된 상황에서 욕설과 비속어가 쉽게 전파되고, 일상적으로 이런 말들을 접하게 되면서 문제의식 없이 습관적으로 욕설과 비속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느는 것으로 분석한다”고 밝혔다.

국어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55.4%로, 2010년(45.6%), 2015년(53.0%) 조사 때보다 비율이 늘었다. 말하기(78.5%), 언어 예절(73.9%), 맞춤법과 발음(69.8%), 글쓰기(69.1%) 분야에 관심이 높았다. 특히 맞춤법과 발음(2005년 19.9%, 2020년 69.8%), 단어의 의미와 유래(4.2%, 53.7%)에 대한 관심도가 지난 15년 사이에 50%포인트 가까이 증가했다.

지역어 사용자는 줄었지만, 긍정적 인식은 되려 높아졌다. 평소 표준어를 사용한다는 응답자는 56.7%로 2005년에 비해 9.1%포인트 늘었다. 그러나 지역어 사용자에게 친근하고 편안함을 느낀다는 답변은 79.9%로, 2010년(58.9%)에 비해 21%포인트 상승했다.

‘국민 언어의식 조사’는 일반 국민의 언어사용 행태와 국어에 대한 관심을 알아보기 위해 2005년부터 5년마다 시행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