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주 만죽재, 해우당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경북 영주 만죽재, 해우당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4-12-03 19:03
수정 2024-12-03 19: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가유산청은 경북 영주 전통마을인 무섬마을을 대표하는 ‘영주 만죽재 고택 및 유물 일괄’과 ‘영주 해우당 고택 및 유물 일괄’을 각각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고 3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만죽재 국가유산청 제공
만죽재
국가유산청 제공


만죽재 고택은 1666년 반남 박씨 집안의 박수(1641∼1729)가 마을에 들어와 터를 잡으면서 지은 집으로, 360여 년간 집터와 가옥이 온전히 잘 보존됐다. 안채, 사랑채, 부속채 등이 이어져 ‘ㅁ’ 자형을 이루는 뜰집 형태를 보인다. 만죽재 고택에는 현판을 비롯해 문방사우, 통나무 계단 등 옛 생활을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이 남아있다.

해우당 고택은 선성 김씨 집안에서 무섬마을에 처음 정착한 것으로 알려진 김대(1732∼1809)의 손자 김영각(1809∼1876)이 1800년대 초반에 지은 것으로 전한다. 그의 아들인 해우당 김낙풍(1825∼1900)이 1877∼1879년에 고택을 수리한 이후 해체하거나 수리한 적이 없어 150년 가까이 원형이 잘 보존돼 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미지 확대
해우당 고택 국가유산청 제공
해우당 고택
국가유산청 제공


김낙풍은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 이하응(1820∼1898)의 친구로, 현재 사랑채에 걸려있는 해우당 현판은 흥선대원군이 쓴 친필로 알려져 있다.

해우당 고택 역시 ‘ㅁ’자 형태로 안방에서 태어나 목방, 작은사랑, 큰사랑, 빈소방 등으로 옮겨가는 생애주기와 생활을 엿볼 수 있다. 여러 고문헌과 서화, 글씨 등은 물론 김낙풍이 작성한 과거시험 답안지, 집 건물을 수호한다는 성주를 모셔두는 단지, 갓 보관함 등도 남아 있다.

국가유산청은 “고택의 체계적인 보존·관리를 통해 역사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 등과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며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은 민속문화유산을 적극적으로 발굴·지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