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발 떨어졌어도… 외국인 69% “K콘텐츠 좋아”

약발 떨어졌어도… 외국인 69% “K콘텐츠 좋아”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4-04-03 01:02
수정 2024-04-03 01: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극·획일적” 호감도 3.7%P 하락

“K콘텐츠 약발 떨어졌나?”

문화체육관광부가 2일 발표한 ‘2024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2023년 기준)에 따르면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호감도 조사에서 ‘마음에 든다’(호감)고 답한 비율이 68.8%로 전년 대비 3.7% 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1년 77.7% 이후 2년째 내림세다. 호감도가 높은 지역은 인도네시아(86.3%), 인도(84.5%), 태국·아랍에미리트(83.0%), 베트남(82.9%) 등 주로 동남아시아 국가로 확인됐다.

반면 한류를 부정적으로 인식한 응답자는 32.6%로 전년 대비 5.5% 포인트 증가했다. 주요 사유로는 ‘지나치게 자극적·선정적’(24.9%), ‘획일적이고 식상함’(22.0%), ‘지나치게 상업적’(21.1%) 등이 꼽혔다.

‘한국’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로는 ‘K팝’(17.2%)을 우선 꼽았다. K팝은 2017년부터 7년 연속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로 조사됐다. 이어 한국 음식(13.2%), 드라마(7.0%), 정보기술(IT) 제품·브랜드(6.3%), 미용(뷰티) 제품(5.2%)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26개국의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2만 50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10~30일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진행됐다.
2024-04-0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