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의 불법 반출과 한국전쟁 폭격 등 한국 근·현대사 수난을 겪은 고려시대 승탑(僧塔)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이 108년 만에 고향 원주로 돌아간다.
108년 만에 제자리 돌아가는 고려 지광국사탑 경복궁 경내 국립고궁박물관 앞뜰에 있는 국보 제101호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문화재청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08년 만에 제자리 돌아가는 고려 지광국사탑
경복궁 경내 국립고궁박물관 앞뜰에 있는 국보 제101호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20일 건축문화재분과 문화재위원회를 열고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을 원래 있던 곳인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사지로 이전하기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국보 제101호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은 고려시대 국사(國師) 해린(海麟, 984∼1070)의 승탑으로, 독특한 구조와 화려한 조각, 뛰어난 장엄 장식으로 역대 가장 개성적이고 화려한 탑으로 꼽힌다. 일제강점기인 1911년 원주에서 서울로 옮겨졌다가 이듬해 일본 오사카로 반출됐다. 이후 경복궁으로 이전됐다가 국립고궁박물관과 국립문화재연구소 등 10여 곳을 떠돌았다. 한국전쟁 중에는 폭격을 받아 파손되는 등 한국사의 고난을 함께 겼었다.
현재 법천사지에는 옛 승탑 자리가 그대로 비어 있으며, 승탑과 함께 조성된 법천사지 지광국사 탑비(국보 제59호)만 그 자리에 있다.
문화재위원회는 지광국사탑을 원주 법천사지로 이전을 결정했으나, 승탑의 원래의 위치에 보호각을 세워 복원하는 방안과 법천사지 내 건립을 추진 중인 전시관 내부로 탑과 탑비를 함께 이전하여 보존·전시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앞으로 보존환경이 석탑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와 관계전문가 논의 등을 거쳐 결정할 방침이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