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 신자 한국인 교수, 교황청 자문위원에 임명

개신교 신자 한국인 교수, 교황청 자문위원에 임명

입력 2014-07-03 00:00
수정 2014-07-03 13: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코스타리카국립대 최현덕 교수 “권력관계 넘어야 하나님 정의 실현”

“하나님의 정의가 실현되는 세상을 꿈꾼다면 권력관계를 넘어서는 사회를 지향해야 하지 않을까요?”

이미지 확대
교황청 문화평의회 자문위원 임명된 최현덕 교수
교황청 문화평의회 자문위원 임명된 최현덕 교수 코스타리카 국립대에서 한국학 및 동아시아학 분야를 가르치는 최현덕(55) 교수가 지난 1일 교황청 문화평의회 자문위원에 임명됐다. 교황청 문화평의회는 다양한 문화 주체를 연구하고 교황청과의 상호 대화와 협력을 추진하는 기구로, 개신교 신자인 최 교수가 자문위원에 임명된 것은 이례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사진=최현덕 교수 제공
코스타리카 국립대에서 한국학 및 동아시아학 분야를 가르치는 최현덕(55) 교수가 지난 1일 교황청 문화평의회 자문위원에 임명됐다.

3일 한국천주교 주교회의에 따르면 이번에 임명된 5년 임기의 자문위원은 12명이며, 아시아인은 최 교수를 포함해 2명이다.

교황청 문화평의회는 학술·문화계, 세계 여러 민족과 문화권, 비신자와 무신론자 등 다양한 문화 주체를 연구하고 교황청과의 상호 대화와 협력을 추진하는 기구다.

최 교수는 유일한 여성일 뿐 아니라 개신교 신자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는다.

그는 지난 2일 주교회의와 한 통화에서 “어떤 경로를 통해 임명됐는지 잘 모르겠다. 독일 가톨릭 주교회의 산하 기구인 ‘미씨오’(MISSO) 선교학 연구소에서 5년간 일한 경험 때문일 수도 있겠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1980년 이화여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로 유학을 떠나 1997년 브레멘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유학 기간에 한국 민중판화 독일 순회전, 구속된 민중미술인 국제석방 캠페인 등을 통해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다.

박사학위를 받고 일시 귀국해 한일장신대 철학과 겸임교수를 지낸 뒤 다시 독일로 건너가 연구활동을 하면서 ‘상호문화철학’을 한국에 소개했다.

2001∼2006년에는 미씨오 선교학 연구소의 아시아 데스크에서 일했다. 연구소가 에큐메니칼(교회일치) 사업을 적극 추진했기 때문에 개신교 신자임에도 들어가게 된 것이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이화여대와 부산대 HK연구교수, 독일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한국사무소 기획협력위원 등으로 일하다 2013년 7월 코스타리카 국립대 교수로 부임했다.

선교학 연구소 시절에는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등 지역의 고유한 문화에 뿌리박고 자생적으로 발전하는 토착화 신학, 상황신학을 연구하고 서구에 소개하는 작업을 주로 했다.

유럽의 그리스도교를 다른 지역에 전파하는 좁은 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문화의 공존을 추구하는 선교학, 선교 지역의 자생적 그리스도교 발전을 연구하는 신학, 토착화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상호문화주의를 연구하고 소개한 경험이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최 교수는 말했다.

”모든 문화는 본질과 토양을 갖고 있습니다. 어느 한 쪽을 다른 쪽에 심는 게 아니라 서로 융합하고 대화함으로써 제3의 어떤 것을 만들어내는 게 문화적 평등입니다. 교황청 자문위원으로 일하면서 권력관계를 넘어 하나님 나라의 정의를 실현하는 데 힘을 보태고 싶습니다.”

이종배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청소년 의회교실 개원식 참석

서울시의회 이종배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지난 19일 서울시의회 본회의장에서 개최된 2025년 ‘청소년 의회교실’ 개원식에 참석해 신임 청소년 의원들에게 유대인의 가정교육 방식을 소개하며 “아주 큰 꿈을 갖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신나게 의정활동에 임해달라”고 응원했다. 이 의원은 인사말에서 “오늘 시의원으로 당선된 것을 진심으로 축하드린다”라며 “맑은 눈과 밝은 생각으로 많은 것을 배우고 경험해서 미래 주인공이 되어 달라”고 격려했다. 또한 이 의원은 유대인 가정의 교육 방식을 예로 들며, 큰 꿈을 가지라고 당부했으며 “유대인 가정에서는 아이들에게 상상도 하지 못할 큰 꿈을 가지라고 교육한다고 한다. 상상력의 한계를 만들지 않는다. 그래서 유대인 가정의 자녀에게 꿈을 물어보면 어떤 아이는 ‘우주 정복’을 꿈꾸기도 한다”라며 “미래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 여러분도 노벨상 수상자, UN 사무총장이 될 수 있다. 꿈을 크게 가지고, 그 꿈을 향해 건강하고 신나게 나아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청소년 의회교실은 서울시의회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민주주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어린이들이 지방의회의 역할과 기능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는 내용을
thumbnail - 이종배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청소년 의회교실 개원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