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냉소 뺀 중국의 현대미술

사회주의·냉소 뺀 중국의 현대미술

입력 2012-12-22 00:00
수정 2012-12-22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라리오갤러리 ‘中 비디오아트’展

중국 미술 하면 여전히 중국의 첨예한 정치적 현실을 다룬 작품들을 많이 떠올린다. 여기엔 비판도 따라다닌다. 중국 자체적인 취향이라기보다 서구의 관심과 취향에 따른 것이라는 지적이다. 그렇다면 중국적인 현대 작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내년 2월 24일까지 충남 천안 신부동 아라리오갤러리에서 열리는 ‘회전무대-중국 현대 비디오 아트’전은 중국 현대 미술이 어디까지 와 있나 점검해 보는 자리다.

이미지 확대
‘혁명에서 아직 정의되지 않은 행동들’
‘혁명에서 아직 정의되지 않은 행동들’


이미지 확대
‘천개의 달’
‘천개의 달’


중국의 1세대 미디어 작가로 꼽히는 왕공신, 왕지엔웨이와 2~3세대 작가로 불리는 장펑이, 순쉰, 우쥔용 등 작가 5명의 작품을 선보인다. 이들은 사회주의적 리얼리즘도 거부하지만 동시에 그간 중국 현대미술로 널리 알려져 왔던 냉소적 사실주의나 정치적 팝 같은 흐름도 거부한다.

이런 특성은 전시작에서 잘 드러난다. 순쉰은 ‘혁명에서 아직 정의되지 않은 행동들’(위)이라는 작품에서 가장 혁명과 잘 어울릴 것 같은 검은 목판화 기법을 지금 현재의 최첨단 미디어 매체로 재현해 뒀다. 그런데 그 내용은 소시민으로서 소소하게 살아나가는 중국 보통 사람들의 모습이다. 지금 중국인에게 혁명의 의미가 무엇인지 묻는 것이다.

1978년생으로 가장 어린 작가 우쥔용은 ‘천개의 달’(아래)을 내놨다. 천개의 강에 천개의 달이 비친다는 얘기에서 따온 이 작품을 통해 작가는 욕망은 늘어났으나 그 욕망을 채울 방법은 막연한 현대 중국인의 심리를 짚어 냈다. (041)551-5100.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12-2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