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호’ 감싼 풍경과 별미 그리고 사람

‘충주호’ 감싼 풍경과 별미 그리고 사람

입력 2012-09-10 00:00
수정 2012-09-1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EBS ‘한국기행’

충주호는 인공호수다. 충북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에 걸쳐 있는 곳으로, 충주댐을 건설하면서 1985년에 생겼다. 호수를 두른 월악산과 금수산부터, 물길을 따라 유연하게 만들어진 구불구불한 모양은 자연과 절묘한 조화를 이루면서 마음을 홀린다. 면적이 넓고 물이 맑아 다양한 어종이 서식한다.

이미지 확대
충주호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졌지만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면서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비경을 자랑한다. EBS 제공
충주호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졌지만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면서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비경을 자랑한다.
EBS 제공
EBS는 10일부터 14일까지 매일 저녁 9시 30분 ‘한국기행’에서 충주호를 배경으로 다채로운 삶과 풍경을 들여다보는 ‘내륙의 바다, 충주호’를 방송한다.

10일 ‘충주호의 하루’는 구름 같은 충주호의 물안개로 시작한다. 제천 정방사에서 내려다보는 충주호는 한 폭의 산수화를 보는 듯하다. 산악자전거와 패러글라이딩으로 만나는 충주호는 순간순간마다 다른 모습이다. 충주호 옆 아담한 호숫가 마을에 사는 노부부의 저녁 밥상이 오를 때면 충주호도 노을로 붉게 물든다.

11일 ‘쏘가리의 모든 것’에서는 민물의 제왕이라 불리면서 루어낚시꾼들의 사랑을 받는 쏘가리를 찾아 나선다. 남한강 물줄기가 제법 세차게 휘도는 단양은 쏘가리로 이름난 고장이다. 육식성 어종인 쏘가리는 살아있는 먹이를 잡기 위해서 날쌔고 재빠르게 움직인다. 쏘가리 육질이 쫄깃하고 부드러워 최고의 회로 꼽히는 이유다. 낚시꾼을 매료시키고, 어부에게는 삶이 된 쏘가리의 매력을 탐구한다.

충주호가 생기면서 호수 주변은 어떤 변화를 겪게 됐을까. 12일 ‘호수가 생겼다’에서는 충주댐이 완성되면서 새로운 풍경을 맞은 사람들을 만난다. 충주호의 비경은 물길 130리에 이르지만 호수가 생기면서 고향땅을 잃은 사람들도 있다. 이들 수몰민들을 위해 숭조회 운천호는 특별한 뱃길을 개척했다. 유구형 선장과 함께 뱃길을 따라 펼쳐지는 아름다운 풍경과 삶 속으로 들어간다.

이어 13일에는 자연의 섭리와 인간의 삶이 공존하는 모습을 담은 ‘호수와 사람들’, 14일에는 충주의 역사를 따라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숨은 시간 찾기’를 방송한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9-1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