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문 50여년 만에 내 법도가 보여”

“입문 50여년 만에 내 법도가 보여”

입력 2011-10-22 00:00
업데이트 2011-10-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원의 모상’展 원로 조각가 최종태

“몇해 전에 추사 김정희 서거 150주년이라 이런저런 기념행사가 많았는데, 그런 자리에서 들었던 말이 참 와닿는 거여. 입어유법, 출어무법, 아용아법(入於有法 出於無法 我用我法). 뭔 말인고 하니 입문할 때는 남의 법도를 따랐는데 나올 때가 되니 그 법도라는 게 별 소용이 없더라는 거여. 난 내 법도에 따를 뿐이라는 얘기지. 내가 요즘 기분이 좋은 게, 요즘 그게 좀 되는 거 같애. 50여년 동안 내가 뭘할 건가 고민하면서 세계미술사를 찾아 헤맸지. 머리 속으로는 조선에서 출발해서 중국, 일본, 중앙아시아, 서양 다 돌아다니는거여. 그런데 이제는 머릿속 세계여행이 덜 분주해. 그게 기뻐.”
이미지 확대
‘구원의 모상(母像)’
‘구원의 모상(母像)’


충청도 사투리 섞어 느릿느릿 말을 이어간 이는 구상조각계의 거장으로 꼽히는 조각가 최종태(79)다. 4년만에 개인전 ‘구원의 모상’을 11월 23일까지 서울 평창동 가나아트센터에서 연다. 여기서 구원은 흔히 쓰는 구원(救援)이 아니라 구원(久遠)이다. 몹시 오래된, 그래서 영원하다는 의미다. 몹시 오래됐으면서도 한결같아 영원한 것. 작가에게 그것은 어릴 적 기억들이다.

해서 눈에 띄는 것은 오랫동안 마음에 담아둔 고향 풍경을 그린 수채화다. 파스텔 작업을 선보여왔던 작가로서는 이채롭다. “글쎄, (파스텔은) 지겨웠다 해야 하나? 수채화는 어릴 적 제법 그렸는데, 조각허고 파스텔허면서 잊어버렸지. 그런데 어릴 적 했던 건 안 잊혀지나봐. 요즘 슬그머니 다시 나오더라고.”

조각상도 마찬가지다. 정한수 한 그릇 떠놓고 비는 조선의 처자 같기도 하고, 성모상 같기도 하고, 불상 같기도 한 표정과 모습들이 여전하다. 다만 채색 나무조각이 늘었다. 고향을 그린 수채화의 색이 흘러넘쳐 조각상을 적신 것 같다.

작업량이 만만찮다. 4년만이라곤 하지만 조각 20여점에 그림 40여점이다. “예전에 신문에다 장욱진 선생은 작업 욕심 때문에 밤에도 촛불 키고 자기 작품보러 갔다고 썼어. 그랬더니 부인께서 ‘아니 그건 나만 아는 얘긴데 어떻게 알았냐.’고 허시데. 근데 그거 그냥 추측해서 쓴 거야. 나도 몇번이나 뒤돌아서서 다시 가서 보고, 다시 가서 보는데 장욱진 선생은 오죽했겠냐고. 피카소도 그랬잖어. 붓 들기는 쉬운데, 붓 놓기는 어렵다고. 얼마나 재밌고 신나면 그러겄어. 나도 그래. 눈 뜨면 그냥 가서 하는 거지. 얼마나 재밌는데.” 김종영(1915∼1982), 장욱진(1917∼1990)은 서울대 미대 조소과 58학번인 그의 스승이다. (02)720-1020.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10-22 17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