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낸 구보 역사학연구회 위원장
일본 역사학자 및 교육자들이 25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공동 성명을 낸 것은 ‘고노 담화’ 부정 등 역사적 사실을 부정하려는 아베 신조 정권의 시도를 더이상 방관할 수 없다고 봤기 때문이다.이날 기자회견에 대표 발표자로 나왔던 구보 도루 역사학연구회 위원장(신슈대 교수)은 일본 역사학자들의 성과를 제대로 보고 일본 정치가들이 말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성명을 냈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군이 2차 세계대전 당시 위안부 강제 동원에 관여했다는 것은 학계의 다수 견해”라며 “공동의 연구 성과를 충분히 평가하지 않은 채 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근거가 없다’ ‘공문서가 남아 있지 않다’ 등의 말을 하는 것은 일본 정부의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또 이날 성명 내용은 역사학자 대다수가 의견 일치를 본 것으로 일본 정부의 과거사 왜곡 행위에 대해 자국 및 세계 여론을 환기하기 위해 일본에서 활동하는 16개 단체의 공동 성명이라는 형식을 취했다고 덧붙였다. 이들 단체는 지난해 10월 일본역사학연구회의 성명 이후 6개월 동안 준비해 왔다.
구보 위원장은 “군 위안부 문제도 식민 지배와 침략 전쟁의 전체 중 일부로서 전개됐으며 식민지 지배라는 큰 틀에서 객관적인 사실과 사료에 근거해 연구를 축적해 왔다”면서 “그 성과로 침략 전쟁과 식민 지배에 대한 문제점과 일본 정부 및 정치인이 반성해야 할 점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역사적 사실에 입각해 일본 정치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생각해 주면 좋겠다”면서 “역사적, 학문적 사실에 근거하지 않고 (일본 정치권이) 무책임한 발언을 하는 것을 그만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2015-05-26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