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바라기’ 美 권투선수 러시아 시민 됐다

‘푸틴 바라기’ 美 권투선수 러시아 시민 됐다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1-10 00:28
수정 2024-01-10 1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푸틴 초상화 티셔츠를 입은 케빈 존슨. 러시아 렌TV 캡처
푸틴 초상화 티셔츠를 입은 케빈 존슨. 러시아 렌TV 캡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경의를 표했던 미국 프로 권투선수 케빈 존슨(45)이 러시아 시민권을 취득했다.

러시아 법령 정보 포털은 9일(현지시간) 푸틴 대통령이 존슨에게 러시아 시민권을 부여하는 대통령령에 서명했다고 발표했다. 미국 뉴저지 출신인 존슨은 지난해 4월 링 위에서 “러시아에서 살고 싶다”며 시민권을 달라고 푸틴 대통령에게 공개적으로 호소한 바 있다.

지난해 8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복싱 토너먼트 대회에서는 푸틴 대통령 초상화가 큼지막하게 그려진 티셔츠를 입고 계체량 측정에 나서기도 했다. 또 푸틴 대통령을 기리기 위해 이름도 ‘케빈 블라디미로비치’로 바꿨다며 “나는 이제 100% 러시아인”이라고 밝혔다.

존슨은 지난해 9월 러시아 시민권을 신청했다. 당시 러시아 언론은 존슨이 러시아에서 아내를 찾고 푸틴 대통령과 체스를 두는 것을 희망한다고 전했다.

20여년 경력 헤비급 프로 복서인 존슨은 60전 36승(20 KO승) 2무 22패를 기록했다. 타이슨 퓨리, 앤서니 조슈아 등 세계적인 복서들과 맞붙어 패배한 전적이 있다. 2009년에는 세계복싱평의회(WBC) 헤비급 타이틀전에서 패했는데 당시 상대가 현 우크라이나 키이우 시장인 비탈리 클리치코였다.

캐나다 출신 아이스하키 선수 브렌던 라이프식(30)도 러시아 시민권을 받았다.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에서 187경기 16골 43도움을 기록한 그는 2020년 여성혐오 발언으로 워싱턴 캐피털스에서 쫓겨난 뒤 2020~21시즌 러시아대륙간하키리그(KHL)로 무대를 옮겼고 지금은 SKA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뛰고 있다.


김용호 서울시의원, ‘2025년 제11회 서울시 안전상 시상식’ 참석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7일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개최된 ‘2025년 제11회 서울시 안전상 시상식’에 참석해 축사를 전하고, 위기 속에서도 시민의 생명을 지켜낸 수상자들에게 축하와 존경의 뜻을 전했다. 올해로 11회를 맞은 ‘서울시 안전상’은 일상 속에서 시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용기 있는 행동을 실천한 시민과 단체를 발굴·포상하기 위한 상으로, 서울시는 지난 7월 17일부터 9월 15일까지 총 22건의 추천 사례를 접수받아 전문가 등 13명으로 구성된 공적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최종 수상자를 선정했다. 올해 대상은 도원교통 소속 버스기사 정영준 씨가 수상했다. 정 씨는 2018년과 올해 7월, 두 차례에 걸쳐 운행 중 심정지로 쓰러진 시민에게 신속히 심폐소생술을 실시해 생명을 구했다. 최우수상은 ▲육군사관학교 트라이애슬론부 ▲구립DMC물치어린이집이, 우수상은 ▲김두성(서울시 미래한강본부) ▲황승연(한양대학교병원 방사선사) ▲정창하(전직 소방공무원) ▲이소영(서울교통공사) 씨가 각각 수상했다. 이날 시상식에는 김 의원을 비롯하여 김성보 서울시 행정2부시장, 서울시 관계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2025년 제11회 서울시 안전상 시상식’ 참석

그는 지난해 7월 푸틴 대통령에게 러시아 시민권을 요청하는 편지를 썼다. 러시아는 미국 배우 스티븐 시걸, 프랑스 배우 제라르 드파르디외 등 러시아를 지지한 유명 인사에게도 시민권을 부여한 바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