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EU 인준... 11개월 뒤 무슨 일이

‘브렉시트’ EU 인준... 11개월 뒤 무슨 일이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20-01-30 18:32
수정 2020-01-30 18: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yonhap photo-1420=“”> MEP‘s sing</yonhap>
MEP‘s sing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유럽의회에서 29일(현지시간)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협정이 비준된 뒤, 의원들이 손을 맞잡고 스코틀랜드 가곡 ‘올드 랭 사인’을 부르고 있다.
 브뤼셀 AP 연합뉴스
‘석별’ 노래하며 인준, 31일 23시 英 퇴장
충격완화용 과도기 지나면 한 치 앞 몰라
‘피시 앤드 칩스’ 재료 대구 값 변동부터
청정 EU 규정 없이 트럼프와 무역 협상
168개국과 750개 협정 수십만 쪽 봐야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유럽의회에 29일(현지시간) 스코틀랜드 가곡 ‘올드 랭 사인’(Auld Lang Syne)이 울려 퍼졌다. 한국에서 ‘석별’이란 제목으로 알려져 있고 ‘오랫동안 사귀었던 정든 내 친구여…’ 하는 가사와 곡조가 익숙한 노래다. 원어 가사는 이렇다. ‘어릴 때 함께 자란 친구를 잊어선 안 된다… 오랫동안 헤어져 있다 다시 만났네. 자 한 잔 하세.’ 세계적으로 헤어질 때 부르며 다시 만날 수 있길 기원하는 노래다.

노래는 영국이 유럽연합(EU)을 탈퇴하는 ‘브렉시트’ 협정이 압도적 지지(찬성 621, 반대 49)로 비준된 직후 유럽의회 의원(MEP)들이 손을 맞잡고 불렀다. 이로써 영국은 31일 밤 11시부로 47년 함께 했던 정든 EU를 떠나기 위한 형식 절차를 모두 거쳤다.
이미지 확대
<yonhap photo-1590=“”> MEP‘s wear</yonhap>
MEP‘s wear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유럽의회에서 29일(현지시간)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협정이 비준된 뒤, EU 표어인 ‘다양성 속 통합’이 적힌 띠를 목에 두른 한 의원이 울음을 참고 있다.
 브뤼셀 AP 연합뉴스
회의장엔 환호와 서운함이 교차했다. 영국 브렉시트당 나이젤 패라지 대표와 이 당 소속 MEP들은 ‘브라보’를 외쳤다. 노동당 주드 키어턴-달링 의원은 눈물을 참으며 “내 인생에서 가장 슬픈 날인 것 같다. 브렉시트는 우리 정체성 근간을 공격했다”고 말했다. 이탈리아 정치인인 데이비드 사솔리 의장은 비준을 확인하는 서명을 하면서 브렉시트 반대 캠페인 중 극우 인사의 총탄에 숨진 조 콕스 전 영국 노동당 의원의 말을 언급하며 “우리를 분열시키는 것보다 단합시키는 것이 더 많다”는 점을 인식하자고 말했다.

31일부터 영국은 더 이상 EU 일원이 아니지만 올 연말까지 EU 법을 준수하며 관세동맹, 단일시장에 남아 있게 된다. 영국과 EU 사이 무역협정 등을 체결하고 세부 사항을 조율하기 위해 마련된 과도기 때문이다. 당장 11개월 동안은 브렉시트 충격이 없지만 내년엔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 워싱턴포스트(WP)는 최근 과도기가 끝나면 분명히 일어나는 일들을 정리했다.

일단 영국인들이 즐겨 먹는 ‘피시 앤드 칩스’의 재료가 바뀌거나 가격이 뛸 수도 있는 게 가장 피부에 와 닿는 변화일지 모른다. 주재료인 대구 값 인상이 예상돼서다. 영국 국내총생산에 극히 일부를 차지하는 수산업은 종사자가 2만 4000명에 불과하다. 대신 영국 바다는 아일랜드, 프랑스, 덴마크 등에게 중요한 어장이었다. 영국 어민은 이를 상당히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선 존슨 총리는 연말부터 이들 국가가 마음대로 조업할 수 없도록 하는 법안을 처리했다. 하지만 브렉시트 이후엔 수산업에서 다시 통 크게 양보해야만 주력인 금융서비스 분야에서 EU 측으로부터 양보를 받을 수 있다.
이미지 확대
BELGIUM-BRUSSELS-EU PARLIAMENT-UK-BREXIT-WITHDRAWAL AGREEMENT-APPROVAL
BELGIUM-BRUSSELS-EU PARLIAMENT-UK-BREXIT-WITHDRAWAL AGREEMENT-APPROVAL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유럽의회에서 29일(현지시간)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협정이 비준된 뒤, 유럽의회 의원인 나이절 패라지 영국 브렉시트당 대표가 개표 상황을 보며 크게 웃고 있다.
 브뤼셀 신화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혹은 그의 후임 미국 대통령과 무역 협정을 맺어야 한다. 트럼프라면 EU의 엄격한 식품안전, 동물복지 규정에 부합하지 못해 수출할 수 없었던 농축수산물을 영국에 밀어 넣고 싶어 할 게 뻔한데, 이는 대구 값 문제와는 차원이 다르다. WP에 따르면 미국 식품 가공업체들은 닭 등 가금류를 염소 탄 물에 헹구고 항생제를 주사한 소를 도축하는데 EU는 둘 다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다시 ‘노딜’(합의 없는) 브렉시트 위협이 찾아올 수 있다. 영국은 단일시장에서 탈퇴하며 무역 상대국으로서 EU와 체결해야 할 협정이 매우 많다. 우르슐라 폰 더 라이엔 유럽 집행위원장은 11개월 내에 양측이 포괄적 합의를 이루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하고 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시한이 임박하면 또 노딜을 들먹일 가능성이 충분하다.

그런데 미국, EU와의 무역협정은 단지 영국이 맺어야 할 수많은 협정 목록 맨 위에 있을 뿐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영국이 EU 소속이 아닌 168개국과 750개 이상의 협약을 맺어야 하는데 분량은 수십만 쪽에 달한다”고 집계하면서 “그 내용은 현대 경제의 거의 모든 대외 기능에 걸쳐 있다”고 썼다.

남창진 서울시의원 “폭염 중 재난안전실이 건설근로자 생명·건강 지켜줘야”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남창진 의원(국민의힘, 송파2)은 지난 1일 제332회 임시회 서울시 재난안전실 업무보고에서 무더위 폭염경보가 발령된 날 일부 공사현장은 서울시 방침을 따르지 않고 폭염 속에서 건설근로자들이 작업을 하고 있었다고 지적하며 철저한 폭염 안전 관리를 주문했다. 지난 7월 7일 서울시 재난안전실이 본격적인 폭염에 대비하기 위해 보도자료를 내고 서울시 발주 야외 건설현장은 건설근로자 보호를 위해 오후 2시부터 5시까지는 야외 작업을 원칙적으로 중단하고 민간 건설 현장에도 적극 안내하겠다고 했으나 7월 8일 서울시 기온이 34~37도까지 올라가 폭염경보가 발령된 상태에서 일부 건설현장에서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남 의원이 지적한 건설현장은 민자사업으로 추진 중인 창동의 A현장과 중구 남산 밑 민간 건축공사장(서울 창조산업허브조성 공사장 옆)이었고 확인을 위해 영상이 촬영된 시간은 오후 2시에서 4시 사이로 하루 중 폭염이 절정인 시간대였다. 우리나라에서 최근 5년간 발생한 온열질환 산업재해의 46%가 건설업에서 발생하고 있고 지난 7월 경북 구미에서 외국인 건설근로자가 폭염으로 사망한 사고가 있었으며
thumbnail - 남창진 서울시의원 “폭염 중 재난안전실이 건설근로자 생명·건강 지켜줘야”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