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인플레 겁먹지 마라”…‘노벨 경제학상’ 크루그먼 이유있는 훈수

“인플레 겁먹지 마라”…‘노벨 경제학상’ 크루그먼 이유있는 훈수

김규환 기자
입력 2021-03-24 14:41
업데이트 2021-03-24 14: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플레 우려가 인플레 유발”NYT 기고
파월도“인플레 유발할 정도는 아니다”

이미지 확대
폴 크루그먼 교수는 23일(현지시간) 미 뉴욕타임스(NYT)에 기고한 칼럼을 통해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 당시 일각에서 제기된 인플레 우려를 언급하며 “인플레 가능성에 겁먹지 마라”고 강조했다. 사진은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 연합뉴스
폴 크루그먼 교수는 23일(현지시간) 미 뉴욕타임스(NYT)에 기고한 칼럼을 통해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 당시 일각에서 제기된 인플레 우려를 언급하며 “인플레 가능성에 겁먹지 마라”고 강조했다. 사진은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 연합뉴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미국 뉴욕시립대 교수가 지금은 인플레이션을 걱정할 때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크루그먼 교수는 23일(현지시간) 미 뉴욕타임스(NYT)에 기고한 칼럼을 통해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 당시 일각에서 제기된 인플레 우려를 언급하며 “인플레 가능성에 겁먹지 마라”고 밝혔다.

크루그먼 교수는 2010년 상황을 소개했다. 당시 미국 정부의 부양책으로 돈이 풀리자 보수진영에선 인플레이션 가능성을 경고했다. 실제로 소비자 물가는 4% 가까이 올랐고 도매물가지수 상승률은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석유와 대두 가격은 1년에 40% 올랐다. 공화당에선 당시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를 향해 통화가치를 떨어뜨린다고 비판했다. 이에 벤 버냉키 전 의장은 물가상승은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반박했고, 버냉키 전 의장의 주장대로 물가는 곧 진정됐다. 그는 당시 상황을 코로나19 사태 이후 미국 정부가 적극적인 부양책을 펴는 현재와 비교, 냉정해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크루그먼 교수는 석유·대두 등의 가격은 시시각각 변화하기 때문에 쉽게 오르고 쉽게 진정된다면서 문제는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 물가라고 강조했다. 경기침체 속에 물가가 상승한 1970년대식 스태그플레이션은 근원 물가의 급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그는 “기업들이 물가상승을 기정사실화하면 가격에도 물가상승 가능성이 선반영될 수밖에 없지만, 현재 기업들이 인플레이션을 염두에 두고 상품 가격을 올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요인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인플레 가능성에 겁먹지 말라는 2010년도의 교훈은 그대로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크루그먼 교수는 경기회복 뿐만 아니라 아직 정상화되지 않은 글로벌 공급체인의 영향으로 일부 상품의 가격이 상승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그러나 “일부 세력이 몇개월간의 물가 자료를 미래의 파국에 대한 근거로 이용하는 것을 놔두지 말라”고 주장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 역시 미국 경제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서 벗어나며 물가가 오를 수는 있지만 감당 못 할 수준은 아닐 것이라고 예측했다. 경제 전망이 개선됐다는 점은 인정하면서도 아직 경제가 완전히 회복되려면 멀었다는 기존의 입장도 확인한 것이다.

미 경제매체 CNBC 등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이날 미 하원 금융서비스 위원회에 나와 “우리는 인플레가 올해 내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억눌린 수요와 공급망 병목현상, 기저효과를 언급했다. 이어 “우리의 시나리오는 인플레에 대한 영향이 특별히 크지 않거나 지속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만일 과도한 물가상승으로 문제가 벌어지더라도 “우리는 여기에 대처할 수단을 갖고 있다”고 그는 강조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