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약·티백·캡슐… 현대화 된 中한방약

알약·티백·캡슐… 현대화 된 中한방약

김규환 기자
입력 2017-07-20 22:48
수정 2017-07-20 23: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장 규모 115억 달러로 급성장

생활에 바빠 번거로운 것을 싫어하는 현대인들을 겨냥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조제된 전통 중국 약인 중약(中藥)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18일(현지시간) 전했다. 중약이 현대화하면서 알약·티백·캡슐 등 간편한 형태로 만들어져 소비자들이 달여 먹는 등 전통적인 복용 방법의 수고를 크게 덜어 주는 덕분이다.

현대화한 중약 시장은 최근 몇 년 사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중약 시장 규모는 2011년 64억 달러(약 7조 2000억원)에서 5년 만인 지난해 2배 가까이 커진 115억 달러로 늘어났다. 홍콩 시장에서도 4억 200만 달러에서 5억 3100만 달러로 증가했다.

현대화한 중약 제품 출시를 선도해 젊은이들 사이에서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대표적 기업은 138년 전통을 자랑하는 위런성(餘仁生). 젊은이들의 취향에 맞춰 홍콩 아웃렛에 플래그십 스토어(브랜드 성격과 이미지를 극대화한 상징적 매장)를 여는 등 중국을 비롯해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에서 190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홍콩과 베이징을 기반으로 하는 퉁런탕(同仁堂), 국유 제약사인 중국의약(SINOPHARM·國藥)그룹의 자회사 국약홀딩스 등도 젊은 소비자를 사로잡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영지버섯 분말 제품으로 유명한 퉁런탕은 지난해 미국과 캐나다에 4개 매장을 열었고, 중동과 동유럽에도 진출할 예정이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7-07-2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