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록으로 연일 미국 정가를 들쑤시고 있는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지난해 5월 13일(이하 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기 전 취재진과 문답을 주고 받을 때 안경을 올려 쓰고 있다. 볼턴은 18일 ABC 뉴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트럼프는 대통령으로서 부적격자였으며 대통령으로서 직무를 수행할 능력을 갖추지 못했다고 털어놓았다. AFP 자료사진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회고록으로 연일 미국 정가를 들쑤시고 있는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지난해 5월 13일(이하 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기 전 취재진과 문답을 주고 받을 때 안경을 올려 쓰고 있다. 볼턴은 18일 ABC 뉴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트럼프는 대통령으로서 부적격자였으며 대통령으로서 직무를 수행할 능력을 갖추지 못했다고 털어놓았다. AFP 자료사진 연합뉴스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미국의 대표적 강경파로 손꼽힌다. 북한을 ‘악의 축’으로 규정한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 볼턴 전 보좌관은 국무부 군축·국제안보 담당 차관과 주유엔 미국 대사를 역임하며 대북 강경 정책을 주도했다. 2018년 4월 트럼프 행정부의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으로 발탁된 이후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모든 북한 핵무기의 미국 반출 등 북한이 수용할 수 없는 ‘리비아 모델’을 언급하면서 회담을 무산 위기로 내몰기도 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대북 정책 등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갈등을 빚다 지난해 9월 경질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볼턴 전 보좌관의 회고록에 대해 트위터에 “미친 존 볼턴이 북한에 대해 ‘리비아 모델’을 보고 있다고 했을 때 다 망쳐버렸다”며 “볼턴의 멍청한 모든 발언은 북한과 우리를 심하게 후퇴시켰고 지금까지도 그렇다”고 말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20-06-22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