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면 속 젊은 여성, 접종대상 아니다”…호주 백신광고 논란

“화면 속 젊은 여성, 접종대상 아니다”…호주 백신광고 논란

최선을 기자
입력 2021-07-13 11:41
수정 2021-07-13 11: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논란이 된 호주의 백신광고 영상. 트위터 캡처
논란이 된 호주의 백신광고 영상. 트위터 캡처
호주 정부가 제작한 백신광고 영상
고통스러워하는 젊은 여성 내세워
“현재 젊은층은 대상 아냐” 비난 거세
한 젊은 여성이 산소호흡기를 달고 거친 숨을 내쉰다. 병원에 있는 이 여성은 고통스러운 표정으로 곳곳을 바라본다. 이후 “누구라도 코로나19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집에 머무세요. 코로나19 검사를 받으세요. 백신을 예약하세요”라는 문구가 나온다.

호주 정부가 제작한 코로나19 백신 광고 영상이다. 최근 심각해지는 코로나19 상황을 알리기 위해 제작한 것이다. 젊은층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을 장려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호주의 2030들은 이 광고 영상에 대해 거세게 반발했다. 현재 이들은 대부분 접종 자격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12일(현지시간) BBC 등은 호주 정부가 제작한 코로나19 백신 광고가 실정과 맞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재 호주 정부의 백신 계획에 따르면 40세 미만의 사람들은 화이자 백신을 맞을 수 없는 상황이다. 화이자 백신이 부족해 정부의 백신 계획에 차질이 생긴 탓이다. 네티즌들은 “젊은층은 백신을 맞고 싶어도 맞을 수 없다”, “현실과 동떨어진 광고다”라며 비난했다.

그 동안 호주 정부의 백신 정책에 대한 시민 불만이 증폭되면서 이번 광고 논란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호주는 선진국 중 비교적 낮은 감염률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최근 델타 변이가 확산하면서 확진자가 급증하는 중이다. 현재 호주 인구 가운데 백신 접종을 마친 사람은 10% 정도다.



논란이 거세지자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생생한 메시지 전달하기 위한 것이었다”라고 해명했다. 그는 “집에 머물고 방심하지 말라는 메시지도 있다. 밖을 돌아다니는 젊은층들이 그들을 포함해 공동체를 위험에 밀어 넣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화이자 백신 접종 자료사진. 2021.7.6 뉴스1
화이자 백신 접종 자료사진. 2021.7.6 뉴스1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