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우리 화났다”… 호주방송은 “벌레·머리카락 먹는 중국인”

中 “우리 화났다”… 호주방송은 “벌레·머리카락 먹는 중국인”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11-23 21:08
수정 2020-11-24 01: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中, 화웨이 퇴출 등 반중사례 14개 적시
“적 만들려고 하면 진짜 적이 될 것” 엄포
호주 “양보 전제한 요구엔 합의 못 해”

이미지 확대
호주가 중국을 겨냥해 코로나19 발원지 국제 조사를 요구하며 불거진 두 나라의 갈등이 이제 극단으로 치닫는 모양새다. 중국이 ‘신냉전’ 상황에서 미국 대신 동맹국인 호주에 대해 압박 강도를 높여 가고 있다.

23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지난 17일 호주 캔버라 주재 중국대사관은 현지 매체들을 불러 호주 측 반중 사례 14가지를 적시해 전달했다. 대사관 측은 호주가 감염병에 대한 독립 조사를 요구한 것과 중국 정보기술(IT)업체 화웨이가 호주 5세대(5G) 이동통신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막은 조치, 호주 정치인들이 중국 정부에 비판적 발언을 이어 가는 상황 등을 문제 삼았다.

중국대사관 측은 “호주가 중국의 (전반적인) 인권 문제뿐 아니라 홍콩·대만·신장위구르자치구 문제도 거론한다. 그러나 이는 중국 공산당이 매우 민감하게 여기는 핵심 이해관계”라며 불만을 표시했다. 심지어 한 중국 외교관은 “중국은 화가 났다. 중국을 적으로 만들고자 하면 중국은 진짜로 적이 될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고 현지 언론들이 전했다.

이에 대해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호주상공회의소가 마련한 화상 회의에서 “중국과의 긴장은 호주가 그저 (중국보다 힘이 약한) 호주라는 이유 때문에 발생하는 것 같다”면서 “호주의 양보를 전제로 한 요구에는 합의할 생각이 없다”고 반박했다고 가디언이 보도했다.

앞서 중국 정부는 호주 측에 “중국을 전략적 위협으로 간주하는 행동을 멈추지 않으면 호주 장관들의 전화를 받지 않겠다”고 통보했다. 실제로 사이먼 버밍엄 호주 무역장관은 중국이 호주산 제품에 부과한 고율 관세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화를 요구했지만 수개월째 접촉하지 못하고 있다.

두 나라 간 감정싸움이 격해지자 어린이 채널 방송 내용까지 문제가 되고 있다. 글로벌타임스는 최근 호주 공영 ABC방송이 교육용 프로그램에서 중국인들이 곤충이나 쥐, 머리카락 등을 요리에 사용한다는 점을 암시하는 내용을 내보냈다며 비난을 퍼부었다. 중국 누리꾼들은 웨이보(중국판 트위터) 등에서 “인종 차별적 행위”라며 프로그램 삭제와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호주에서는 “실제로 중국에서 메뚜기 등을 식용으로 쓰지 않았느냐”며 프로그램에 문제가 없다는 반응이다.

두 나라 간 불화가 본격화한 것은 지난 4월이다. 미국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걷잡을 수 없이 퍼지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중국 책임론’을 꺼내 들었는데, 모리슨 총리가 이에 맞장구를 친 것이다. 곧바로 청징예 중국 대사가 “중국인들이 왜 호주산 농산물을 먹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경고하며 충돌이 본격화됐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2020-11-2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