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로의 아침] SOOL도 언젠가 KIMCHI처럼 된다

[세종로의 아침] SOOL도 언젠가 KIMCHI처럼 된다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5-10-21 01:02
수정 2025-10-21 03: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제력 상승에 전통주 관심도 ↑
세계 명주와 겨룰 경쟁력 충분
우리술에 관한 표기법 정비하고
국가적 관심과 뒷받침 뒤따라야

책상 위에 안동 소주(燒酒)가 한 병 있다. 경북 안동 출장 때 사 온 것이다. 안동 탈춤의 히로인 중 하나인 부네탈(과부탈) 모습의 술병이 귀엽다. 배시시 웃으며 한잔 마시라 권하는 듯하다.

사실 술을 즐기지는 않는다. 당연히 술맛도 모른다. 어쩌다 한잔씩 향기를 음미하며 넘기는 정도다. 간간이 추억도 한 모금 곁들인다. 물론 안동소주에 얽힌 기억이다.

아주 오래전, 안동 출장길에 안동소주를 사다 장인께 드린 적이 있다. 지금 돌이켜 보면 1990년대 중반, 안동소주가 다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낼 무렵이었다. 장인께선 안동소주에서 화주(火酒)의 맛이 난다며 좋아하셨다. ‘화주’는 당시 읽던 ‘장길산’, ‘객주’ 등의 소설에서도 종종 보던 표현이었다. 당시엔 그저 불처럼 독하고 거칠다는 뜻인가 싶었다. 그 뒤로도 몇 번인가 안동소주를 사다 드린 기억이 있다.

우리 술에 관해, 특히 증류식 소주에 관해 다시 알게 된 건 최근 안동 출장을 통해서다. 소주를 왜 ‘불사른 술’ 화주라 부르는지, 비슷한 과정을 거쳐 만드는데 왜 양조장마다 다른 향과 맛을 갖게 되는지 알게 됐다. 안동소주뿐 아니라 가문마다 빚던 가양주 등 수많은 전통술이 나라 안에 산재하고 있다는 것도 전해 들었다.

가장 중요한 건 희석식 소주와 증류식 소주의 어마어마한 차이를 깨닫게 된 거다. 희석식 소주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에서 들여온 기술로 만든 술이다. 우리나 중국 등이 일본에 전해줬을 것으로 추정되는 증류 기술과는 완전히 격이 다르다. 우리 술 소주와는 주종 자체가 다른 술이다. 연속 증류 기술을 통해 고농도의 에탄올 덩어리인 주정을 만들고, 여기에 감미료와 물을 섞어 만든다. 흔히 ‘쏘주’, 혹은 ‘쐬주’라 부르는 게 이 희석식 소주다.

현재 우리 소주 시장의 99%는 희석식 소주다. 세계인도 한국인의 정서가 담긴 술이라며 우리와 더불어 ‘쏘주’를 들이켠다. ‘쏘주’가 가진 정서적 기능, 경제에 이바지한 공로 등을 모르는 건 아니다. 하지만 희석식 소주가 전통 ‘소주’의 원형인 것처럼 곡해될 수 있는 표현 방식은 이제 손볼 때가 됐다.

희석식 소주가 일제를 거쳐 사실상 우리를 대표하는 술이 된 건 1965년께다. 당시 양곡관리법이 시행되면서 부족했던 쌀과 보리 등 곡물로 술을 만드는 게 전면 금지됐다. 증류식 소주를 만들던 업체는 죄다 문을 닫았고, 그 자리를 희석식 소주가 빠르게 대체했다.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곡물 증류식 소주가 다시 선을 보이기까지 우리나라의 소주는 희석식 소주가 전부였다.

우리에게 희석식 소주를 전하고, 강요한 일본은 어떨까. 일본식 청주인 ‘사케’가 대세인 와중에, ‘쇼추’(소주)도 주류 시장의 일정 부분을 점유하고 있다. 우리와 다른 건 소주를 갑류와 을류로 구분한다는 거다. 갑류는 희석식, 을류는 증류식이다. 을류는 ‘본격(本格)소주’라고도 불리는데, 병 라벨에 이를 반드시 표기해야 한단다. 전통에 대한 배려다. 그러면서 위스키 시장에도 진출해 이제 세계 위스키 시장의 강자로 군림하고 있다.

요즘 젊은이들이 즐겨 찾는 몇몇 지역에선 증류식 소주를 내는 집들이 늘고 있다고 한다. 칵테일에 관한 관심도 뜨겁다. 경제력 상승의 한 단면이겠지만, 젊은 세대가 우리 술의 진가를 알아간다는 건 꽤 긍정적인 신호다.

‘국뽕’ 따위로 포장해 우리 술을 홍보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 그럴 이유도 없다. 우리 술은 도저히 맛이 ‘없을 수 없는’ 술이라서다. 우리 술에 관한 관심과 경쟁력이 날로 높아지면서 표기에 관한 의견도 솔솔 나오는 모양이다. 대개는 ‘한류’처럼 한자를 섞어 표기하자는 제안이 많은 것으로 안다. 개인적으로는 정부가 내세우는 ‘술’ 또는 ‘우리술’, 영어로는 ‘SOOL’이 가장 간명하고 직관적인 표현이라 생각한다. ‘SOOL’을 세계인에게 각인시키려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지적도 있지만, ‘SOOL’이 ‘KIMCHI’(김치)처럼 자연스레 보통명사가 되는 날은 반드시 온다. 우리 술도 그쯤의 경쟁력은 갖췄다.

손원천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이미지 확대
손원천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손원천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2025-10-21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