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독도는 일본 땅’ 초등생 교과서부터 왜곡 교육

日, ‘독도는 일본 땅’ 초등생 교과서부터 왜곡 교육

강경민 기자
입력 2019-03-26 15:13
수정 2019-03-26 16: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日 고유영토를 한국이 불법점거’ 억지주장 교과서 내년부터 사용‘한국에 계속 항의 중’ 표현 넣어 아베 정권 외교적 노력 부각임진왜란 등 역사 왜곡·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 모호하게 기술

이미지 확대
일본 초등 5학년 교과서에 다케시마로 적힌 독도
일본 초등 5학년 교과서에 다케시마로 적힌 독도 26일 일본 문부과학성의 검정을 통과한 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 교과서(니혼분쿄출판)의 왼쪽 위 독도 사진에 ‘竹島’(다케시마)이라고 적혀 있다. 2019.3.26 연합뉴스
내년 신학기부터 일본 초등생들이 한국 영토인 독도(일본이 주장하는 명칭: 다케시마<竹島>)가 일본의 ‘고유영토’이고 ‘한국이 불법 점거하고 있다’는 억지 주장이 강조된 새 교과서를 놓고 공부하게 된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26일 교과서 검정심의회 총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도쿄서적, 니혼분쿄(日本文敎)출판, 교이쿠(敎育)출판 등 3개 출판사의 사회과 교과서 12종(3~6학년용)에 대한 검정을 모두 승인했다.

이번 검정은 2017년 개정된 문부성의 신학습지도요령이 독도와 쿠릴 4개 섬(일본명 북방영토),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열도를 ‘일본의 고유영토’로 다루도록 하고, 관련 해설서가 독도의 경우 ‘한국이 불법점거하고 있다’라고 기술토록 주문한 뒤 처음 실시된 것이다.

독도 기술이 없는 3학년용을 제외하고 이번에 검정을 통과한 4학년용 3종 교과서는 모두 직전인 2014년 검정 때와 마찬가지로 지도상의 독도를 ‘竹島’ 또는 ‘竹島(시마네현)’로 표기하거나 울릉도와 독도 사이에 경계선을 두어 일본 영토임을 강조했다.

또 5~6학년용 3종 전체는 독도를 ‘일본 고유의 영토’이고 ‘한국이 불법 점거하고 있다’고 쓰는 등 독도에 관한 내용이 양적으로 늘고, 지도와 사진 같은 시각 자료도 상대적으로 많아졌다.

5~6학년용은 2014년 검정 때는 ‘일본 영토’ 또는 ‘일본 고유영토’를 혼재해 기술하고 일부 교과서엔 ‘불법 점거’라는 표현이 등장하지 않았다.

특히 일본 정부는 ‘한 번도 다른 나라의 영토가 된 적이 없다’는 의미에서 ‘고유’라는 표현을 강조토록 하고 있다.

또한, 5~6학년용 사회과 모든 교과서는 ‘한국의 (독도) 불법 점령에 일본이 계속 항의하고 있다’는 표현을 새롭게 넣어 국수주의 성향을 보이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정권의 외교적 노력을 부각하는 등 정치적 색깔을 담기도 했다.

이에 따라 새 교과서가 사용되는 내년 4월 신학기부터 영토 개념을 본격적으로 배우게 될 일본 초등학교 고학년생들이 독도에 대해 그릇된 교육을 받을 우려가 한층 커졌다.

남상구 동북아역사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장은 “우리나라의 독도 주권행사에 영향은 없다”면서도 “미래 세대가 상대방에 대해 편견과 불신을 가질 수 있다는 측면에서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일본 중고등학생들은 대부분이 이미 신학습지도요령이 시행되기 전부터 독도 등에 대해 일본의 영유권 주장이 한층 상세히 기술된 내용의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다.

신학습지도요령은 중학교의 경우 2021년부터 전면 적용하고, 고등학교는 2022년 신입생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하도록 돼 있다.

이 밖에 이번에 검정을 통과한 초등학교 새 교과서에선 서기 5~6세기에 주로 한반도에서 일본 열도로 건너가 선진문화를 전파한 도래인(渡來人)과 에도 바쿠후(幕府) 시기에 파견됐던 조선통신사 관련 기술 내용이 일부 줄었다.

특히 교이쿠출판이 제작한 6학년용 새 교과서는 임진왜란에 대해 ‘국내를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중국을 정복하려고 2차례에 걸쳐 조선에 대군을 보낸 것’이라고 기술해 조선에 대한 침략전쟁 사실을 왜곡했다.

일본인에 의한 조선인 학살사건이 있었던 간토(關東)대지진 상황에 대해선 도쿄서적 6학년용 교과서가 학살의 주체를 기술하지 않고, 희생자 수도 막연히 언급하는 데 그쳤다.

일본의 전쟁 책임 문제에 대해선 검정을 신청한 3곳 중 니혼분쿄출판만 “전쟁 중의 피해에 대한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지금도 있다”라고 기술했을 뿐, 다른 교과서는 이를 거론하지 않았다.

니혼분쿄출판과 도쿄서적은 일제의 전쟁으로 희생된 조선인 규모에 대해 ‘약 20만 명’이라는 수치를 제시했다.

문부과학성은 오는 5월 하순부터 7월 말까지 도쿄도 고토구 교과서연구센터 등 전국 7개 주요 도시를 돌면서 이번에 확정된 초등학교 교과서 검정 관련 자료를 공개할 예정이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열린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2025년 서울시의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 지원 사업 대상지로 지정되기 위한 첫걸음으로, 모래내 영세 상권을 정책 지원 대상으로 편입해 상권 활성화 및 경쟁력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인근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최됐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법규를 설명했다. 골목형상점가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25개 이상(서대문구 조례 기준) 밀집한 구역이 지정 대상이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전통시장에 준하는 법적 지위를 획득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에 참여가 가능하다”라며 “특히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지정 시 일 평균 매출액이 미가입 점포 대비 약 26% 증가하는 등 실질적인 매출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기획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인 서울시 민생노동국과 서울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신용보증재단 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