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질 몸값’ 주장했다 물러섰던 트럼프 반격 예상…공화당 청문회 검토
미국 정부가 지난 1월 이란에 비밀리에 제공한 현금 4억 달러가 같은 날 석방된 미국인 수감자들의 몸값이라는 의혹과 관련해 두 사건의 연관성을 인정해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미 정부는 이 돈이 ‘이란 핵 합의’ 후속 조처에 따라 양국 외교관계가 끊어지기 전인 1970년대 이란에서 받은 미군 장비 구매 신탁금과 이자 등을 합친 17억 달러의 일부를 상환한 것이라며 해당 의혹을 부인해 왔다.
미 국무부 존 커비 대변인은 18일(현지시간) “이란의 미군 장비 구매 신탁금 상환과 이란에 억류된 수감자 석방 협상은 별도로 진행됐다”면서도 “그러나 수감자들이 석방될 때까지 ‘지렛대’로서 자금 전달을 보류했다”고 말했다.
미국의 이란 신탁대금 전달과 이란에 수감됐던 미국인들의 석방은 지난 1월 17일, 같은 날 이뤄졌다.
미 국부무는 지난 2일 미 정부가 이란에 4억 달러의 현금을 비밀리에 화물 항공편으로 전달했다는 월스트리트저널의 보도에 대해 이미 지난 1월 이란에 상환하기로 발표한 17억 달러의 일부라고 해명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지난 4일 기자회견에서 “이란에 자금을 지급한다는 것은 이미 몇 개월 전, (이란 핵 합의 후속조치로서) 지난 1월에 발표한 것”이라며 “절대 어떤 사악한 거래가 아니었다”고 일축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우리가 이란에 현금을 줄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바로 우리가 이란에 대한 제재를 엄격하게 유지하고 있고, 따라서 이란과 금융거래를 하고 있지 않은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공화당 대선후보 도널드 트럼프는 이 현금이 1월 석방된 미국인 수감자들의 몸값이라며 공세를 폈다.
트럼프는 그러나 “몸값을 지불하는 장면이 담긴 영상을 직접 봤다”는 주장까지 폈다가 이틀 뒤 “다른 영상을 잘못 본 것”이라며 식언하는 바람에, 이 문제를 더이상 공세 포인트로 이어가지 못했다.
그러나 이란 대금 상환과 미국인 수감자 석방의 연관성이 확인됨에 따라 ‘인질 몸값’ 논란은 80여 일 앞으로 다가온 미 대선의 최대 쟁점 중 하나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당장 미 공화당 마크 커크(일리노이) 상원의원은 AP통신에 “미국인의 세금이 테러리스트의 손에 곧바로 들어갔는지 확인해야 한다”며 의회 청문회 소집을 예고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