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정례통화정책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소속 일원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을 역설했다.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 연방은행 총재는 11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윌리엄스 총재는 “(미국) 경제가 목표치에 가까워지고 있다”면서 “노동시장의 지표가 대체로 매우 좋고 근원 인플레이션도 1.6% 선에서 안정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금리 인상은) 브레이크를 밟자는 것이 아니고 우리가 지난 몇 년 동안 해오던 일을 계속하면서 가속페달에서 서서히 발을 떼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점진적 금리 인상에 연내 인상도 포함되는 것이냐는 WP의 질문에 “내 생각으로는 그렇다”고 강조했다.
윌리엄스 총재는 올해 연준 FOMC에서 투표권은 없지만 재닛 옐런 연준 의장과 가장 생각이 비슷한 인물로 꼽힌다. 투표권이 없어도 토론에는 참여한다.
현재 연준이 연내에 기준금리를 인상할 기회는 3차례밖에 안 남았다.
연준의 다음 FOMC는 9월 20∼21일 열리며, 11월과 12월에도 한 차례씩 열린다.
11월은 대선 1주일 전이에서 금리 인상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연준이 올해 12월이 되면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이코노미스트 62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71%가 연준이 12월 13∼14일 올해 마지막 FOMC에서 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점쳤다.
불과 6월 설문조사까지만 하더라도 12월 인상 가능성을 점친 경우는 7.8%에 불과했지만 8월에 들어서면서 열 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이번 조사에서 9월 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실은 사람은 일곱 명, 11월 인상을 내다본 사람은 네 명에 그쳤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 연방은행 총재는 11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금리 인상은) 브레이크를 밟자는 것이 아니고 우리가 지난 몇 년 동안 해오던 일을 계속하면서 가속페달에서 서서히 발을 떼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점진적 금리 인상에 연내 인상도 포함되는 것이냐는 WP의 질문에 “내 생각으로는 그렇다”고 강조했다.
윌리엄스 총재는 올해 연준 FOMC에서 투표권은 없지만 재닛 옐런 연준 의장과 가장 생각이 비슷한 인물로 꼽힌다. 투표권이 없어도 토론에는 참여한다.
현재 연준이 연내에 기준금리를 인상할 기회는 3차례밖에 안 남았다.
연준의 다음 FOMC는 9월 20∼21일 열리며, 11월과 12월에도 한 차례씩 열린다.
11월은 대선 1주일 전이에서 금리 인상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연준이 올해 12월이 되면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이코노미스트 62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71%가 연준이 12월 13∼14일 올해 마지막 FOMC에서 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점쳤다.
불과 6월 설문조사까지만 하더라도 12월 인상 가능성을 점친 경우는 7.8%에 불과했지만 8월에 들어서면서 열 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이번 조사에서 9월 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실은 사람은 일곱 명, 11월 인상을 내다본 사람은 네 명에 그쳤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