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결혼 20개국서 허용…아프리카·중동선 투석형도

동성결혼 20개국서 허용…아프리카·중동선 투석형도

입력 2015-05-24 11:02
수정 2015-05-24 11: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네덜란드서 2000년 첫 허용…유럽에 허용국 몰려

아일랜드가 23일(현지시간) 세계 최초로 국민투표를 통해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면서 동성결혼을 허용하는 국가는 20개로 늘었다.

워싱턴포스트(WP)와 BBC방송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동성결혼을 허용한 국가는 네덜란드다. 2000년 12월 의회에서 동성결혼 허용 법안이 통과됐다.

이밖에 동성결혼을 합법화한 국가는 벨기에와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노르웨이, 스웨덴, 스페인, 포르투갈, 에스토니아, 슬로베니아 등 주로 유럽에 몰려 있다.

올해부터 동성결혼이 가능해진 룩셈부르크에서는 지난 15일 자비에르 베텔(42) 총리가 동성 파트너와 결혼식을 올리기도 했다.

남미에서는 아르헨티나가 2010년 7월 처음으로 동성결혼을 합법화한 이래 브라질과 우루과이가 뒤를 이었다.

뉴질랜드와 캐나다에서도 동성 커플이 합법적인 결혼식을 올릴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2006년 동성결혼 허용 법안이 통과됐다.

그러나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에는 동성애에 투석형 등으로 강력 대응하는 국가가 많다.

수단에서는 동성애로 3차례 적발되면 사형에 처한다. 소말리아와 나이지리아는 동성애에 징역형을 부과하지만 이슬람 율법을 엄격히 적용하는 일부 주에서는 사형도 가능하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에서는 이슬람 율법에 따라 투석형에 처한다. 이라크에서는 동성애 처벌 조항은 없지만 민병대에 죽임을 당하거나 이슬람 율법에 따라 사형 판결이 내려진다.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카타르도 사형 규정이 있지만 실행되는 경우는 별로 없다.

모로코, 알제리, 리비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케냐 등 아프리카의 상당수 국가를 포함해 전세계 66개국에서는 동성애가 불법이다.

100개국에서는 동성애가 불법은 아니지만 결혼 등 권리 부여에 제한을 두고 있다. 한국도 여기에 해당한다.

미국과 영국, 멕시코는 일부 지역에서만 동성결혼이 가능한 나라다. 미국은 37개주와 워싱턴DC에서만 동성결혼이 합법이다.

영국에서는 북아일랜드를 뺀 나머지 지역에서 동성결혼을 할 수 있다. 멕시코의 경우 동성결혼은 수도 멕시코시티에서만 허용된다.

김태수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장, ‘2025 대한민국 어린이대상’ 수상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태수 위원장(국민의힘, 성북구 제4선거구)이 지난 7일 마곡코엑스 전시장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어린이박람회’에서 성평등가족 문화 확산을 통해 행복한 사회 조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성평등가족부장관이 수여하는 ‘2025 대한민국 어린이대상’을 수상했다. ‘2025 대한민국 어린이박람회’는 어린이가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들기를 주제로 한국어린이문화원과 SBS가 주최하고, 행정안전부·보건복지부·문화체육관광부·고용노동부·성평등가족부·국방부·농림축산식품부·산림청·소방청·서울시 등이 참여했다. 특히 올해 박람회에서는 양성평등에 기반한 가족문화 조성과 건강한 미래세대 육성에 앞장선 인물에 대한 시상이 이뤄졌다. 김 위원장은 평소 성평등 가족문화의 정착과 확산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모범적인 실천을 이어왔으며,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올해 ‘대한민국 어린이대상’ 수상자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수상식이 진행된 마곡코엑스 박람회장에는 많은 어린이와 가족 및 관계자들이 참석해 축하의 박수를 보냈다. 김 위원장은 “앞으로도 모든 어린이와 가족이 존중받는 평등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며, 미리내집 등의 확대를 통해 신혼부부들
thumbnail - 김태수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장, ‘2025 대한민국 어린이대상’ 수상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