뻥뻥 뚫리는 백악관…90억 들여 훈련용 복제품 짓기로

뻥뻥 뚫리는 백악관…90억 들여 훈련용 복제품 짓기로

입력 2015-03-18 03:29
수정 2015-03-18 03: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비밀경호국, 의회에 예산 요청…메릴랜드에 실물 크기 요원 음주사고 닷새후 국장에 보고…또 기강해이 논란

허술한 경호와 기강 해이 등으로 미국 백악관이 잇따라 괴한들에게 뚫리자 비밀경호국(SS)이 거액이 투입되는 실물 모형을 만들어 요원을 훈련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조지프 클랜시 백악관 비밀경호국장은 17일(현지시간) 하원 세출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2016회계연도(올해 10월 1일∼내년 9월 30일) 예산안을 설명하면서 요원 훈련용으로 사용될 백악관 실물 모형 건설을 위해 800만 달러(90억 원)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그는 “메릴랜드 주 벨츠빌에 있는 주차장을 활용한 현 훈련 시설은 실제 백악관과 크기도 같지 않고 유사한 모양의 숲이나 분수, 차량 출입문, 바리케이드, 가로등 등도 없어 모의 훈련을 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의회가 관련 예산을 승인하면 백악관에서 20마일(30㎞) 떨어진 메릴랜드 주에 백악관 복제품을 설계하고 건설하는 일에 투입된다”며 “실물 모형이 완성되면 더 실제적인 환경에서 각종 시나리오에 기반을 둔 훈련과 연습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몇 년간 직원들의 근무 태만과 국가기밀 유출 사건 등으로 여론의 질타를 받은 비밀경호국은 지난해 9월 중순 흉기를 든 남성이 백악관 내부 이스트룸(East Room)까지 깊숙이 침입한 데 이어 한 달 뒤 또 다른 남성이 담을 넘었음에도 이를 제때 막지 못해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또 무장한 사설 경호원이 오바마 대통령과 같은 승강기에 탑승하는 일이 발생하면서 심각한 ‘경호 실패’ 논란에 휘말렸다.

이 때문에 줄리아 피어슨 전 국장이 옷을 벗는 등 대대적인 인적 쇄신을 단행했고, 클랜시 국장이 수장으로 발탁됐다.

그럼에도, 비밀경호국 고위직 요원 2명이 최근 술을 마신 채 관용차를 몰다가 백악관 바리케이드를 들이받은 혐의로 상급 기관인 국토안보부의 조사를 받기도 했다.

클랜시 국장은 이날 청문회에서 해당 사건을 닷새가 지나서야 알았다고 밝혀 의원들을 경악하게 하면서 기강 해이 논란을 또 불러일으켰다.

그는 “당연히 보고를 받았어야 했다. 보고 누락에 대한 책임 소재도 가리고 있다”고 말했다.

장태용 서울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 “지역주민 위한 범죄예방 시스템 구축 절실”

지난 9일 장태용 서울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국민의힘, 강동제4선거구)은 4일 오전 발생한 천호동 재개발 조합 사무실 흉기난동 사건 현장을 서울자치경찰위원회 길우근 자치경찰협력과장, 강동경찰서 이상일 범죄예방대응과장 등과 함께 방문하여, 이와 같은 비극이 재발하지 않도록 두 기관에 강력한 주민 보호 대책 마련과 범죄예방체계 재정비를 촉구했다. 장 위원장은 먼저 이번 사건으로 인해 안타깝게 목숨을 잃은 희생자께 깊은 애도를 표하며, 유가족분들께 진심으로 위로의 말씀을 전했다. 부상당하신 모든 분들의 조속한 쾌유를 간절히 기원하고, 피해자분들께서 일상으로 복귀하실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장 위원장은 이번 사건을 “단순한 우발범죄로만 볼 것이 아니라, 갈등, 고립 등 우리 사회 곳곳에 내재된 위험요인들이 얽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치안의 유지·강화를 넘어 주민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근본적 범죄예방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자치경찰위원회와 강동경찰서에 제안했다. 장 위원장은 지역치안에서 자치경찰의 역할을 강조하며 “서울시, 국가경찰, 자치경찰, 그리고 갈등관리·정신건강 분야 전문가들이 긴밀히 협력하는 방식으로 범죄예방 체
thumbnail - 장태용 서울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 “지역주민 위한 범죄예방 시스템 구축 절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