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 기업들, 보수 로비단체 잇따라 탈퇴>

<실리콘밸리 기업들, 보수 로비단체 잇따라 탈퇴>

입력 2014-09-26 00:00
수정 2014-09-26 08: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후변화 문제 등 이슈 의견차…구글은 탈퇴 선언하며 강도 높은 비난

미국 주 의회를 상대로 정부 규제를 반대하는 활동을 벌여 온 유력 로비단체 ‘미국 입법 교류협회’(ALEC)에서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잇따라 탈퇴했다.

이는 총기 문제나 기후변화 대응 등 미국에서 의견이 극명하게 갈리는 이슈에 대해 이 단체가 보수 쪽에 치우친 목소리를 내면서 회원 기업들의 이미지가 훼손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25일(현지시간) 미국 최대 포털업체 야후는 핵심 이슈에 관한 의견 차이를 해소하지 못했다며 ALEC에서 탈퇴한다고 발표했다.

이 업체는 “우리는 정기적으로 참여 중인 단체의 회원 자격을 유지할 것인지를 검토하는데, 지금 시점에서 우리는 ALEC의 통신·테크 태스크포스에 더 이상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세계 최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기업인 페이스북은 2015년에 ALEC 회원 자격을 갱신하지 않을 공산이 크다는 내용을 담은 성명서를 지난 24일 언론에 배포했다.

음식점 리뷰 사이트로 유명한 옐프는 지난해에 ALEC에 가입했으나 올해 곧바로 탈퇴했다.

이에 앞서 세계 최대의 소프트웨어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와 세계 최대의 인터넷 서비스 기업인 구글도 ALEC 탈퇴를 선언했다.

특히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은 이번 주 미국 공영방송 NPR에 출연해 ALEC이 기후변화 대응 정책에 반대하는 점을 강도 높게 비난했다.

슈미트 회장은 구글이 2011년 ALEC에 가입했으나 이는 잘못한 일이었다며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우리 자녀와 손자 손녀들에게 해를 끼치고 있는 것이며 세상을 훨씬 나쁜 곳으로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그런 사람들과 함께 해서는 안 된다. 그 사람들은 문자 그대로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수도 워싱턴DC 인근 버지니아주 알링턴에 본부를 둔 ALEC은 1973년 설립된 입법 로비단체다.

미국 주 의원의 4분의 1과 접촉하고 있다는 것이 ALEC의 주장이다.

이 단체는 총기 규제를 완화하는 입법 로비 활동도 펴 왔다.

ALEC 공보담당자인 빌 메이얼링은 블룸버그 통신에 “인정하기는 고통스럽지만, 샌프란시스코와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테크 기업 중 많은 수가 비슷한 정책 목표를 갖고 있으므로 이런 연쇄 탈퇴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테크 기업들이 이 나라 의원들의 25%와 대화할 기회를 잃을 것이라는 점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기업들의 ALEC 탈퇴를 촉구해 온 시민단체 ‘미디어와 민주주의 센터’는 지금까지 코카콜라, 제너럴 모터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등 80여 개 기업이 ALEC을 탈퇴했다고 전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열린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2025년 서울시의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 지원 사업 대상지로 지정되기 위한 첫걸음으로, 모래내 영세 상권을 정책 지원 대상으로 편입해 상권 활성화 및 경쟁력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인근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최됐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법규를 설명했다. 골목형상점가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25개 이상(서대문구 조례 기준) 밀집한 구역이 지정 대상이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전통시장에 준하는 법적 지위를 획득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에 참여가 가능하다”라며 “특히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지정 시 일 평균 매출액이 미가입 점포 대비 약 26% 증가하는 등 실질적인 매출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기획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인 서울시 민생노동국과 서울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신용보증재단 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