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감기처럼 전염된다”<美대학팀 연구>

“스트레스, 감기처럼 전염된다”<美대학팀 연구>

입력 2014-07-02 00:00
수정 2014-07-02 17: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트레스도 감기처럼 ‘옮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세인트루이스대학 심리학 연구팀은 참가자 151명에게 관중 앞에서 연설을 하거나 수학문제를 암산으로 풀게 한 뒤 피실험자와 관중의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과 스트레스에 관련된 타액 효소 수치를 측정,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인터넷판 등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실험 결과 스트레스를 받는 참가자를 지켜본 관중 211명 중 26%의 혈중 코티솔 농도가 짙어졌다.

연구팀은 관중의 스트레스 정도가 “상대 연설자의 스트레스 수치에 비례했으며 성별에는 영향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들에 따르면 스트레스는 목소리 톤, 표정, 자세, 심지어 냄새를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

토니 뷰캐넌 세인트루이스대 심리학과 부교수는 “가만히 앉아서 스트레스를 받는 이를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이런 반응(스트레스)을 쉽게 끌어낼 수 있는 것이 놀라웠다”고 말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과 뉴욕대학의 공동연구 결과도 이 ‘간접 스트레스’ 현상을 뒷받침한다.

연구진은 어머니와 자녀를 떼어놓고 나서 어머니들을 두 집단으로 나눠 긍정적 표정을 짓는 이들과 찡그린 얼굴을 한 관중 앞에서 각각 즉흥 연설을 하게 했다.

이후 참가자들과 아이를 다시 만나게 한 뒤 이들의 심박 수를 측정한 결과 어머니의 심박 수가 높을수록 자녀의 심박 수 역시 높게 나타났다.

세인트루이스대 연구팀은 상대에 대한 감정이입 정도가 ‘간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등 추가 연구를 계속해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이해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