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스위스은행 비밀계좌 폭로 언론인 체포

그리스, 스위스은행 비밀계좌 폭로 언론인 체포

입력 2012-10-29 00:00
수정 2012-10-29 09: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직 장관 등 고위층 대거 포함…당국 “세금 회피 증거 없다”폭로 언론사 대표, “공공 이익 위해 공개, 언론자유 탄압”

스위스 은행에 거액의 비밀 계좌를 보유하고 탈세행위를 저질렀다는 의혹을 받아온 그리스 고위층 2천여명의 명단을 폭로한 언론사 대표가 검찰에 체포됐다.

28일(현지시간) BBC와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에 따르면 그리스 주간지 ‘핫독(Hot Doc)’ 대표 코스타스 박세바니스가 허가 없이 특정인의 실명을 공개해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한 혐의로 체포됐다.

경찰 관계자는 “공개된 명단에 포함된 인물들이 실제로 세금을 회피하거나 돈세탁을 저지르는 등 법을 위반했다는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박세바니스는 “정치인들이 거의 3년 동안이나 이 문제를 대수롭지 않게 취급해왔다”며 공공의 이익을 위해 명단을 공개했다고 주장했다.

박세바니스는 “의회가 그리스 대중의 임금을 삭감하는 법안 투표를 앞둔 마당에 명단에 오른 대부분은 비밀리에 스위스로 자금을 이체해 세금을 회피하고 있었다”며 “중요한 것은 그리스가 굶주리고 있을 때 이들은 이윤을 냈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 당국이 “탈세범을 체포하는 대신 진실과 언론의 자유에 재갈을 물리려 하고 있다”고 비난하고 자신은 언론인의 의무를 다한 것뿐이라고 해명했다.

박세바니스가 폭로한 이른바 ‘라가르드 리스트’는 HSBC 은행 스위스지점 직원이 2년 전 크리스틴 라가르드 당시 프랑스 재무장관에게 넘긴 명단으로 최근 그리스 사회의 ‘뜨거운 감자’였다.

당시 프랑스 당국은 이 명단을 탈세자 소탕에 활용하라며 그리스 재무부에 건넨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리스는 명단의 전달 여부를 놓고도 분열되는 모습을 보이며 집권층과 유력 기업가가 연루돼 있어 명단을 덮으려 하는 것 아니냐는 논란에 시달려왔다.

명단 공개와 조사에 주저하는 정치권의 모습은 재정 긴축 속에 임금 삭감의 고통을 견디고 있던 그리스 일반 대중의 분노를 부채질했다.

특히 핫 독이 폭로한 명단에는 게오르게 불가라키스 전 문화부 장관과 재무부 직원, 유력 기업가 등 고위층이 대거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 정부 한 관계자는 “이른바 라가르드 리스트는 그리스 경제 엘리트층의 명단과 같다”며 “즉시 철저하게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지난 2003년 HSBC 제네바지점에 계좌를 개설했다고 언급된 불가라키스 전 장관은 트위터 메시지를 통해 “중상모략일 뿐”이라며 계좌 보유를 부인했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