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지도자들의 ‘심장쇼크’ 이력

中지도자들의 ‘심장쇼크’ 이력

입력 2012-09-13 00:00
수정 2012-09-13 00: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후야오방, 회의 중 심장발작 뒤 일주일 만에 사망… 추모 열기가 톈안먼 사태로

중국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이 지난 1일 이후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자 격무로 심장발작을 일으킨 것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지도자들의 ‘심장 쇼크’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장쩌민 작년 심근경색으로 후송

톈안먼(天安門) 사태 발발의 계기가 된 후야오방(胡耀邦) 전 총서기의 죽음 역시 심장병과 관련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989년 4월 8일. 중앙정치국 회의를 주재하던 후야오방이 회의 도중 얼굴이 창백해지며 한 손으로 가슴을 쥔 채 통증을 호소했다. 당시 정치국 위원이던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이 구급상자를 꺼냈으나 사용법을 몰라 당황해하는 사이 응급의료진이 도착해 베이징병원으로 후 전 총서기를 후송했다. 후 전 총서기는 병원 후송 일주일 만에 세상을 떠났고, 그를 추모하기 위해 대학생들이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 모인 것이 톈안먼 사태로 이어졌다.

장 전 주석도 지난해 7월 심근경색으로 중국 공산당 창당 90주년 행사에 참석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 그가 최고위급 인사들이 이용하는 군 병원인 베이징의 ‘301병원’으로 긴급 후송됐다는 소문이 급속히 확산됐고, 이에 해외 반체제 뉴스 포털들은 그의 사망설을 제기하기도 했다. 장 전 주석은 같은 해 10월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신해혁명 100주년 기념식에 모습을 드러내 건강이상설을 일축했다.

●후 주석도 고원지대 시찰 중 쇼크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도 산소가 부족한 고원지대인 시짱(西藏·티베트) 당서기 시절인 1990년 7월 장 전 주석의 시찰에 동참했다가 심장 쇼크로 쓰러져 베이징에서 한동안 요양 생활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후 주석은 시짱 당서기 임기를 마칠 때까지 라싸(拉薩)가 아닌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에서 시짱 업무를 챙겼다는 후문도 나돈다.

톈안먼 사태 당시 강경 진압을 주도한 리펑(李鵬) 전 총리도 두 번째 총리 임기가 시작된 1993년 직후 심장병이 도져 치료를 받았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2012-09-1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기사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