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亞영토분쟁, 북한 버금가는 안보위협” WP

“亞영토분쟁, 북한 버금가는 안보위협” WP

입력 2012-08-12 00:00
수정 2012-08-12 15: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시아 각지에서 진행중인 영토 분쟁이 북한에 버금가는 잠재적 안보 위협요인이라고 워싱턴포스트(WP)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신문은 일부 안보 전문가들 사이에서 이런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며 최근의 가장 대표적인 영토 분쟁 사례로 한국과 일본, 중국과 일본 간의 갈등을 제시했다.

WSJ는 대상 지역의 지하자원과 해당 국가 내 일부에서 야기되는 민족주의적 운동이 영토 분쟁의 바탕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올해 정권 교체를 앞둔 한국과 중국에서 정부 관리들로 하여금 영토 문제에 대해 강경한 모습을 보이게 하려는 분위기가 있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신문은 지난 10일 이명박 대통령이 독도를 방문한데 대해 저조한 지지율을 높이려는 책략이 분명하다고 꼬집으면서도, 한일간 문제가 아시아의 여러 영토 갈등 가운데 폭력사태로 비화될 가능성이 가장 낮다는 안보 전문가들의 견해를 실었다.

이에 비해 중국과 관련된 다른 지역의 분쟁 사례는 더 성가신 양상이라고 WSJ는 말했다.

WSJ는 아시아 각지의 영토 분쟁에 대해 미국이 중립을 지키려 노력하면서 항행의 자유를 강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의회에 이달 초 제출한 보고서에서 아시아 지역에 대한 군사 전략의 하나로 호주에 핵추진 항공모함을 주둔시키는 방안을 제시했으며, 호주가 이에 대해 즉각 반대 의견을 보인 사례가 있었다고 WSJ는 상기시켰다.

연합뉴스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조기 착공해 문화복합 랜드마크로 완성해야”

서울시의회 이종배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지난 14일 제333회 정례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설계가 다른 지역에 비해 지나치게 길어지고 있다”며 “서울시가 조기 착공을 좀 더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올해 7월 투자심사에서 주민편익시설 보완 요청이 있었던 것은 이해하지만, 설계 변경 작업이 과도하게 지연돼서는 안 된다”면서 “기본설계가 이미 상당 부분 마무리된 만큼, 수정 설계에 박차를 가해 상반기 착공이 가능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문화본부장은 “투자심사에서 주민시설 보완과 복합화 요구가 제기돼 이를 반영하는 과정에서 설계 변경이 필요했다”며 “배관·배선 등 세부적인 구조까지 재조정해야 하는 만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답변을 들은 이종배 의원은 “도시기반시설본부에서는 물리적 제약으로 상반기 착공이 어렵다고 하지만, 시민들의 기대가 큰 만큼 최대한 빠르게 착공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또한 이 의원은 “동대문 시립도서관은 당초 공연·전시 등 문화복합 기능 중심이었으나, 투자심사 의견 반영으로 주민 교육·편익시설이 추가되며 기능이 확장된 것
thumbnail -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조기 착공해 문화복합 랜드마크로 완성해야”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