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은행들이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 담합 의혹’으로 법적 위험 및 평판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국제신용평가업체 피치가 25일 경고했다.
피치는 이날 성명에서 “한국에서 소비자 보호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커지면서 은행들에 대한 법적 및 평판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이는 은행들의 장기 수익성에도 부담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지금 단계에서 개별 은행에 대한 재정적 영향을 확인하는 것은 이르다고 피치는 덧붙였다.
피치는 이번 사건이 은행의 내부통제와 준법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장기적으로는 한국의 은행들이 더욱 탄탄해지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관측하면서도, 법적 및 평판 위험이 커지는 것은 은행의 신뢰도에는 부정적이라고 평가했다.
피치의 이런 경고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주 19개 은행·증권사를 상대로 CD 금리 담합 여부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이후 나온 것이다.
이들 은행 및 증권사들은 각종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는 3개월 물 CD 금리를 서로 짜고 높게 유지해 부당한 이득을 취해왔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일부 금융소비자단체는 공정거래위원회 조사 등을 통해 CD 금리 조작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면 대규모 집단 소송에 나서기로 했다.
연합뉴스
피치는 이날 성명에서 “한국에서 소비자 보호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커지면서 은행들에 대한 법적 및 평판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이는 은행들의 장기 수익성에도 부담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지금 단계에서 개별 은행에 대한 재정적 영향을 확인하는 것은 이르다고 피치는 덧붙였다.
피치는 이번 사건이 은행의 내부통제와 준법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장기적으로는 한국의 은행들이 더욱 탄탄해지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관측하면서도, 법적 및 평판 위험이 커지는 것은 은행의 신뢰도에는 부정적이라고 평가했다.
피치의 이런 경고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주 19개 은행·증권사를 상대로 CD 금리 담합 여부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이후 나온 것이다.
이들 은행 및 증권사들은 각종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는 3개월 물 CD 금리를 서로 짜고 높게 유지해 부당한 이득을 취해왔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일부 금융소비자단체는 공정거래위원회 조사 등을 통해 CD 금리 조작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면 대규모 집단 소송에 나서기로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