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중독 ‘노모포비아’ 확산”

“휴대전화 중독 ‘노모포비아’ 확산”

입력 2012-03-08 00:00
수정 2012-03-08 08: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혹시 휴대전화에 중독돼 있지는 않는가요?’

영국인 66%가 휴대전화가 없을 때 불안해 하는 증세를 나타내는 ‘노모포비아(nomophobia)’ 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인터넷 보안전문업체인 ‘시큐어엔보이(SecurEnvoy)’의 조사결과를 인용해 CNN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노모포비아는 휴대전화가 없을 ? 느끼는 공포증이라는 뜻의 ‘노 모바일폰 포비아(no mobile-phone phobia)’의 준말이다.

이에 따르면 시큐어엔보이가 최근 영국민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66%가 이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1년전 조사때보다 11%포인트가 늘어난 것이다.

특히 나이가 젊을수록 그 같은 증세가 더 많이 나타나 응답자 가운데 18∼24세의 경우 모노포비아 증세를 보이는 경우가 전체 응답자들에 비해 많은 77%나 됐다.

또 여성이 70%, 남성이 61%로 이 증세는 여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났다.

시큐어엔보이의 공동창업자이자 최고기술책임자(CTO) 앤디 켐셸은 이에 대해 남성이 여성보다 휴대전화 2대 이상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고 잃어버릴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휴대전화를 2대 이상 가지고 있는 남성은 전체의 47%로, 33%인 여성보다 비율이 높았다.

캐나다 청소년 심리학자 미첼 카-그레그는 “일부 사람들은 휴대전화를 가지고 있지 않을 때 패닉(공황)상태에 빠지기도 한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또 상당수의 사람들은 불안감을 느끼고 휴대전화를 찾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한다”며 “심지어 내 고객 가운데 일부는 아침에 휴대전화를 찾지 못하면 학교나 일터에 가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소개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