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명문대, 유명 조각상 헐값매각 ‘망신살’

美명문대, 유명 조각상 헐값매각 ‘망신살’

입력 2012-02-23 00:00
수정 2012-02-23 11: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이 100만달러(약 11억원)가 넘는 유명 흑인 조각가의 작품을 알아보지 못해 해당 조각을 단돈 150달러(약 17만원)에 판매한 사실이 드러나 망신을 샀다.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는 지난 2009년 UC버클리가 1930년대 ‘할렘 르네상스’ 시기의 대표적인 흑인 예술가 사전트 존슨의 작품을 이 같은 가격에 판매했다면서 “지식인들의 집합소인 UC버클리가 어리석은 실수를 범했다”고 23일(현지시간) 전했다.

문제의 작품은 사전트 존슨이 붉은 삼나무를 이용해 제작한 길이 6.7m가량의 조각상이다.

신문에 따르면 애초 사전트 존슨의 조각상은 정부 보조금으로 한 특수학교에 위탁돼 있었다.

그러다가 UC버클리가 이 특수학교 건물을 구입했지만, 건물 안에 있던 조각상이 사전트 존슨의 작품인지 알아보지 못한 대학교 측은 조각상을 창고에 방치해 놨다.

이후에도 사전트 존슨의 조각상은 UC버클리 대학원의 소유물로 잘못 행정처리 됐다가 오래된 가구 및 잡동사니 물건들과 함께 경매에 나오게 됐다.

이렇게 세상에 나온 사전트 존슨의 조각상은 세금까지 포함해 단돈 164달러의 가격에 당시 미술상이었던 그레그 페버스에게 팔렸다가 결국 캘리포니아주(州) 로스앤젤레스의 산마리노 소재 헌팅턴 도서관에 판매돼 전시됐다.

사전트 존슨의 조각상은 예술적 가치가 높아서 크기가 매우 작은 작품도 10만달러를 훌쩍 넘는다.

이 때문에 7m에 달하는 해당 작품이 150달러에 팔렸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한 예술학자는 미술상인 페버스에게 “당신이 정말 그것(조각상)을 샀단 말이요? UC버클리가 그것을 팔아주던가요?”라는 이메일을 보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