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국빈만찬에 중국계 유명인사 대거 등장

백악관 국빈만찬에 중국계 유명인사 대거 등장

입력 2011-01-20 00:00
수정 2011-01-20 10: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백악관에서 14년만에 열린 중국 최고지도자를 위한 국빈만찬에는 중국계 거물급 유명인사들이 총출동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 내외가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을 위해 마련한 이번 만찬에 초청장을 받은 인사들에는 전.현직 각료와 의회 의원 중 중국계 인사들이 거의 망라됐으며 문화.예술.체육계의 중화권 인사들도 상당수 눈에 띈다.

 현직 각료로는 노벨물리학상상 수상자인 스티븐 추 에너지 장관과 게리 로크 상무장관 등 2명의 중국계 인사가 참석했고 전직으로는 중국계 여성으로 미 행정부의 최고위직을 지낸 일레인 차오 전 노동장관도 행사장에 등장했다.

 중국계 여성으로 최초로 의회에 진출한 주디 추(민주.캘리포니아) 하원의원,데이비드 우(민주.오리건) 하원의원,진 콴 오클랜드 시장도 만찬장에 모습을 나타냈다.

 영화배우 청룽(成龍·재키 찬)과 김연아의 우상인 피겨스케이팅 세계선수권대회 우승자 미셸 콴,첼리스트 요요 마,뉴욕에서 활동하는 여성 디자이너 베라 왕,인기 드라마 ‘로 앤드 오더(Law & Order)’에 출연한 영화배우 B.D.왕 등도 초청받았다.

 요요 마는 2년전 오바마 대통령의 취임식 때 축하연주를 한 적이 있으며 웨딩드레스와 이브닝드레스 디자이너로 국내에서도 잘 알려져 있는 베라 왕은 미셸 오바마 여사가 각별히 좋아하는 인물로 알려져 있다.

 언론재벌 루퍼트 머독의 부인인 중국계 여성사업가 웬디 덩 머독과 중국계 작가이자 인권운동가인 베티 바오 로드 등도 초청자 명단에 이름이 올랐다.

 한편 이번 행사에는 전직 미국 대통령 2명도 포함됐는데,지미 카터 전 대통령과 함께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의 배우자 자격으로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만찬장에 모습을 나타냈다.

 재계인사로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스티브 발머,골드만삭스의 로이드 블랭크페인,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월트디즈니의 로버트 아이거,제너럴일렉트릭의 제프리 이멜트,코카콜라의 무타르 켄트,듀퐁의 엘렌 쿨먼,인텔의 폴 오텔리니 등 거물급 CEO(최고경영자)들이 등장했다.

 이밖에 미 민주당의 열렬한 지지자인 여배우 바브라 스트라이전드,미.중 수교의 실무작업을 주도했던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도 참석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열린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2025년 서울시의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 지원 사업 대상지로 지정되기 위한 첫걸음으로, 모래내 영세 상권을 정책 지원 대상으로 편입해 상권 활성화 및 경쟁력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인근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최됐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법규를 설명했다. 골목형상점가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25개 이상(서대문구 조례 기준) 밀집한 구역이 지정 대상이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전통시장에 준하는 법적 지위를 획득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에 참여가 가능하다”라며 “특히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지정 시 일 평균 매출액이 미가입 점포 대비 약 26% 증가하는 등 실질적인 매출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기획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인 서울시 민생노동국과 서울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신용보증재단 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