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가 민박에서 며칠을 보냈다. 깔끔한 신축 시설과 수영장이 눈길을 끌어 선택한 곳이었는데 정작 가장 큰 선물은 뜻밖의 곳에서 기다리고 있었다. 바비큐를 준비하는데 민박집 사장님이 오시더니 뒤뜰 텃밭으로 이끈다. “여기서 고추랑 상추, 깻잎 따다 드세요.” 막 물을 줘서 흙냄새가 더 짙어진 텃밭이 주는 따뜻한 환대였다.
내친김에 시골 장터로 향하니 지역 목장 이름을 단 작은 우유집이 눈에 들어왔다. 메뉴에 목장 우유로 만든 요거트와 아이스크림, 카이막 라테가 있다.
채소든 라테든 익숙지 않게 튀는 청량한 첫맛에 놀랐다. 그러다 금세 다른 맛들과 어우러지더니 입안에 깊은 여운이 남았다. 대량생산 조미료와 자극적인 향신료에 길들여진 입맛에는 가공을 덜 한 신선한 재료가 오히려 새로운 자극이 됐다.
단맛, 쓴맛, 신맛, 짠맛에 이어 감칠맛이 다섯 번째 미각이 된 지 오래다. 가공식품의 감칠맛에 익숙해진 현대인에게는 ‘신선한 맛’도 새로운 미각 자격이 충분해 보였다. 도시에선 잊혀졌던, 순수해서 더 자극적인 로컬의 맛이다.
2025-08-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