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분초사회/이순녀 논설위원

[길섶에서] 분초사회/이순녀 논설위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3-11-27 00:31
수정 2023-11-27 00: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출근길, 이어폰으로 라디오 뉴스를 들으며 인터넷 검색을 한다. 귀와 눈, 손을 동시에 활용하지만 머리에 남는 내용은 별로 없다.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하는 멀티태스킹으로 시간을 아낀다는 생각은 착각일 뿐 결과적으론 아까운 시간을 허비한 셈이다.

언젠가부터 아무것도 하지 않는 공백의 시간이 사라졌다. 책을 읽든, TV를 보든, 인터넷 서핑을 하든 뭔가를 해야 마음이 놓인다. 시간을 알차게 쓰지 않으면 손해를 보거나 뒤처지는 느낌이 든다. 이런 현상은 현대인에게 보편적인 일상이 된 듯싶다. ‘트렌드 코리아 2024’가 제시한 내년 키워드 중 하나가 ‘분초사회’다. 분초(分秒)를 다투며 살 정도로 시간 효율성이 중요해졌다는 의미다.

문제는 몰입과 집중력이다. 해야 할 일에 비해 시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이것저것 한꺼번에 손을 대지만 어느 하나 제대로 몰두하지 못하고 수박 겉핥기에 그치기 십상이다. 빨라지는 삶의 속도 앞에서 고민이 깊어진다.
2023-11-2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