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랍을 뒤지다 낡은 봉투를 하나 발견했다. ‘심심하면 뒤졌는데, 처음 보네….’ 개중 해진 표창장 같은 게 눈에 띄었다. 펼쳐 보니 선친의 성함이 적혔고, 대학 시절이다. 커다랗고 빨간 직인과 함께 ‘태권도 5단’이라 돼 있다. 초등학교 몇 학년이었을까? 쪼르륵 달려가 그 수준의 질문을 했다. “아빠 이거 엉터리지?” 선친은 운동에 관한 한 몸치에 가까웠다고 생각했었다. 선친도 “그래, 그래” 껄껄거리시기에 ‘그럼 그렇지’ 했다. 뒤에는 ‘사회도 허술하던 때니, 대충대충 남발되던 단증이려니’ 여겼다.
선친은 종종 “저마다 특기가 있어야 한다”고 하셨는데, 어찌하다 태권도 얘기로 또 여쭈었다. “아빠 특기는 뭐였는데?” “아빠는…, 옆차기” 하는 대답에 배를 잡고 뒹굴었다. 이후로도 그 일을 떠올리며 낄낄대곤 했다. 얼마 전 한 태권도 원로를 만나기 전까지는.
이 원로는 정색하며 “당시는 엄격해 단을 따기가 훨씬 어려웠다”고 했다. 죄송스러운 마음이 들었는데, 태권도 유파(流派)를 얘기하다 선친이 ‘○○관’ 출신이었음을 알게 됐다. “○○관은 무슨 특징이 있나요?” “옆차기가 특기였다네.”
수십년간 아버지와 아버지 세대를 비웃고 있었음을 알게 됐다. 이제는 옆차기가 떠오르면 마음이 아프다.
선친은 종종 “저마다 특기가 있어야 한다”고 하셨는데, 어찌하다 태권도 얘기로 또 여쭈었다. “아빠 특기는 뭐였는데?” “아빠는…, 옆차기” 하는 대답에 배를 잡고 뒹굴었다. 이후로도 그 일을 떠올리며 낄낄대곤 했다. 얼마 전 한 태권도 원로를 만나기 전까지는.
이 원로는 정색하며 “당시는 엄격해 단을 따기가 훨씬 어려웠다”고 했다. 죄송스러운 마음이 들었는데, 태권도 유파(流派)를 얘기하다 선친이 ‘○○관’ 출신이었음을 알게 됐다. “○○관은 무슨 특징이 있나요?” “옆차기가 특기였다네.”
수십년간 아버지와 아버지 세대를 비웃고 있었음을 알게 됐다. 이제는 옆차기가 떠오르면 마음이 아프다.
2019-06-2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thumbnail - ‘한국인 남성과 결혼’ 日여성 “정말 추천”…‘이 모습’에 푹 빠졌다는데 [이런 日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11/07/SSC_20251107182512_N2.jpg.webp)
![thumbnail - “상공 60m 급강하 앞두고 안전벨트 풀려”…롤러코스터 공포의 순간 찍혔다 [포착]](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11/08/SSC_20251108113045_N2.jpg.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