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마음의 나이/이순녀 논설위원

[길섶에서] 마음의 나이/이순녀 논설위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19-03-18 23:26
수정 2019-03-19 17: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릴 적, 어르신들이 “몸은 늙어도 마음은 늙지 않는다”고 얘기할 때면 참 ‘고약한 농담’이다 싶었다. 아무려나 육신이 노화하는데 마음이라고 별 수 있겠나 의아했다. 어느덧 중년에 접어들고 보니 그 말이 무슨 의미인지 조금은 알 것 같다. 굳이 비유하자면 몸의 노화 속도가 5G라면 마음의 나이 드는 속도는 2G라고 할까.

요즘 부쩍 나이듦에 관한 생각이 많아진 건 드라마 ‘눈이 부시게’ 때문이다. 스물다섯에서 하루아침에 70대 할머니로 변한 혜자(반전이 있다)의 눈을 통해 노년의 삶을 유쾌하면서도 통찰력 있게 그려낸 수작이다. 명대사, 명장면이 수두룩한데 그중에서도 성형외과에 간 혜자가 자신을 보며 수군대는 젊은이에게 일침을 놓는 대목이 압권이다. “누구 보라고 하는 거 아니야. 나 보려고 하는 거야. 우리도 아침에 세수하고 이 닦을 때 거울 보잖아. 그때마다 내가 흡족했으면 해서 하는 거야. 너희들은 안 늙을 것 같지? 예뻐지고 싶은 맘 그대로 몸만 늙는 거야.”

나이 든다고 해서 취향이나 욕망, 감성마저 쪼그라드는 건 아닐 것이다. 노인에 대한 고정관념 탓에 그런 마음을 겉으로 드러내지 못할 뿐이다. 마음을 늙게 하는 건 세월이 아니라 우리 사회라고 생각하니 씁쓸하고, 쓸쓸하다.

coral@seoul.co.kr
2019-03-1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