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부암동살이 6년/진경호 논설위원

[길섶에서] 부암동살이 6년/진경호 논설위원

진경호 기자
진경호 기자
입력 2017-07-23 17:36
수정 2017-07-23 17: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벽잠 잊은 새들이 요란스레 먼동을 부르는 것 여전하고, 수다스러운 빗줄기가 산자락에서 소슬거리며 미끄럼 타는 것 여전하다. 꼽등이에 돈벌레, 애집개미 같은 놈들이 식구가 된 지도 오래다. 물색없이 거실까지 기웃대던 지네에 물려 응급실로 달려가기도 했다. 16년을 함께한 ‘방울이’는 제가 뛰놀던 백사실 계곡에 잠들었고 천방지축 ‘토순이’가 가출한 지도 몇 해가 됐다.

‘서울의 마지막 자연정원’이라며 호들갑 떠는 방송사 카메라들의 발길이 잦아진다 싶더니 그 뒤로 줄을 잇는 기타 등등의 카페와 가게들이 ‘신흥상권’이라고 외친다. ‘문재인 커피’를 찾는 발길에 동네 어귀 커피집 앞은 늘 북새통이고 방송 카메라가 지겨워진 치킨집은 옆집도 모자라 뒷집까지 인수했다. 그런저런 집들 사이에 숨은 채 사람을 피하는 듯 기다려 좋았던 환기미술관은 잔뜩 힘준 서울미술관이 길 건너 들어서면서 그만 무람해지고 말았다.

스케치북에 담아 가던 부암동이 숨가쁘게 지워지고 있다. 훗날 아이들이 돌아와 추억을 더듬을 저 살던 동네가 이렇게 사라져 간다. 부암동의 추억이 자꾸만 다르게 적혀 간다.
2017-07-2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