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규격화된 삶/손성진 논설실장

[길섶에서] 규격화된 삶/손성진 논설실장

손성진 기자
입력 2017-03-26 20:56
수정 2017-03-26 21: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규격화된 건물과 도로들로 가득 찬 도심이 질릴 때가 있다. 반듯반듯한 선과 선이 만나서 형성된 도시의 형상은 매끈하기는 하지만 한 치의 빈틈도 주지 않아 숨이 턱턱 막힌다.

우리 대부분이 살고 있는 아파트촌을 보면 그나마 형태는 다른 도심의 건물보다 더 규칙적이고 규격화돼 있다. 도시의 인간들은 일하고, 자고, 먹고, 쉬는 것도 규격화된 곳에서 규칙적으로 한다. 삶 자체가 규격화된 삶이다. 그들에게 영혼이란 ‘토끼의 간’처럼 어디다 떼어 놓고 있는 존재 같다.

“서울은 카길 사의 소고기 패티를 얹은 흰 밀가루빵이며 … 그것이 지옥인 이유는 영혼이 없기 때문이다. … 풍경은 의미 없이 걸려 있고, 더이상 하늘은 색의 변화로 시간을 가리키지 못한다.”-김사과, ‘매장’

삐뚤삐뚤한 골목으로 이어진 집들, 왁자지껄한 장터, 소통하는 이웃이 있는 옛 시절이 그리운 것은 그런 까닭이다. 그런 곳을 찾기란 사실 그리 어렵지 않다. 다만 영혼이 없는 우리는 그런 곳에 사는 것은 고사하고 가는 것조차 꺼리며 점점 더 규격화돼 가고 있을 뿐이다. 자신도 모르는 새.

손성진 논설실장 sonsj@seoul.co.kr

2017-03-2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