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옷, 예의/이도운 논설위원

[길섶에서] 옷, 예의/이도운 논설위원

입력 2012-11-20 00:00
수정 2012-11-2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요일. 아내는 출장을 떠났고, 딸은 외갓집에 가 있다. 뭘 할 수 있을까. 옷장을 열었다. 숨이 막힌다. 오래된 옷들이 가득하다. 마음 굳게 먹고 모조리 처분할 생각이다. 옷 한 벌을 꺼낼 때마다 옛 생각이 따라 나온다. 추억의 절반은 음식이라고 하지만, 나머지 절반은 옷이 아닐까.

가장 오래된 옷은 가늘게 흰 줄이 쳐진 까만 여름 양복. 입사 면접 때 입었던 옷이다. 22년이 지났다. 툭툭한 카키색 양복은 여동생 약혼식 때 입고 노래를 불렀던 기억이 난다. 일본에서 사온 독특한 체크 문양의 감색 양복은 선볼 때 많이 입었다. 한때는 유행의 첨단이었지만, 지금은 촌스러워진 옷들도 수두룩했다.

한 벌, 한 벌 살펴보니 버리고 싶은 마음이 사라졌다. 일단 걸어두면 유행이 바뀔 때 다시 입을 수도 있지 않을까. 그러나 버리지 않으면 얻지 못하는 법. 오래된 옷들을 몽땅 싸서 세탁소에 맡겼다. 깨끗하게 손질한 뒤 처분할 생각이다. 그것이 오랫동안 내 몸을 감싸고, 추억을 공유했던 나의 옷들에 대한 예의다.

이도운 논설위원 dawn@seoul.co.kr

2012-11-2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