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무승 한국여행업협회장
우리나라 외래 관광객의 80% 이상을 중국, 일본, 동남아 등 아시아 지역 관광객이 차지하고 있다. 우리 국민의 해외여행 목적지 또한 이들 지역이 80% 이상이다. 아시아 지역 관광객의 대부분은 한류 드라마 등을 통해 한국인에 대한 호의적인 이미지를 갖고 방문한다. 그런데 이들 주요 손님을 맞이하면서 마음속에 우리가 우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들 국가를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 중 일부는 현지 주민들에게 성숙하지 못한 모습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 대한 환상을 품고 있던 아시아 관광객들이 한국을 방문하기도 전에 한국인에 대한 부정적인 모습을 먼저 접하게 된다면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관광발전을 저해하게 될 것이다.
방한 시장의 성장은 국민의 성숙한 해외여행으로부터 시작된다. 성숙하고 품격 있는 해외여행은 국가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고, 궁극적으로는 세계인들을 한국으로 끌어들일 힘을 가져온다. 해외여행자는 민간 외교관이다. 예의를 갖춰 한국의 이미지가 더욱 빛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국가 차원의 사업과 협력관계를 민간 교류와 함께 이어나간다면 국가 이미지 제고에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는 공적개발원조(ODA) 원조국으로, 수혜국과의 민간교류를 넓혀갈 수 있다. 우리나라의 원조 수혜국인 아시아와 아프리카, 중남미 등지에 품격 있는 한국인 여행자들이 적극 방문한다면, 그 자체로 훌륭한 원조가 될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우리의 국격을 높이는 일이 될 것이다.
이웃 일본은 외래 관광객 1973만명으로, 2015년 방일 외국인 관광객 수가 출국 일본인 수를 처음으로 넘어섰다. 일본 인바운드 시장의 성장에는 일본 정부의 주도면밀한 전략도 있었지만, 민간 차원의 숨은 노력도 있었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일본인의 해외여행 문화는 시행착오를 겪으며 정착되어 왔다. 오랜 세월 민관의 노력으로 일본인은 예의 바르고 질서를 잘 지킨다는 이미지를 만들어 갔고, 그 결과 그들의 여행 매너는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일본에 대한 우호적 분위기도 형성됐다. 우리도 관광(觀光)의 어원인 관국지광(觀國之光), 즉 한 나라의 우수한 문화를 본다는 관광의 참뜻을 되살려 방문 국가의 문화를 존중하고 배우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한편, 품위 있는 여행 문화로 민간 교류를 활성화한다면 외국인들이 찾고 싶은 매력 있는 관광지 대한민국을 만들 수 있다.
2016-08-05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